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한국창작오페라의 성장기

작품명
한국창작오페라의 성장기
(1) 국립오페라단 창단과 김자경오페라단
오랜 공백을 깨고 1962년 4월에 이남수 지휘, 오현명 연출로 장일남의 창작오페라 <왕자호동>이 공연되었다. 이 공연은 새롭게 창단된 국립오페라단의 창단공연으로 마련된 것이다. 민간오페라단의 힘으로 힘들게 명맥을 이어오던 오페라운동은 1962년 국립극장 산하에 국립오페라단이 창단됨으로써 새로운 전환기를 맞게 된다. 이 국립극장은 새롭게 건립된 것이 아니라 그 이전부터 공연장으로 사용하던 명동의 시공관을 국립극장으로 전환한 것이었다. 국립오페라단은 전속단원제가 아니었고 정단원을 두되 공연이 있을 때만 배역을 맞아 활동하는 식으로 운영되어 미흡한 점이 있었지만, 일단 국가 예산으로 오페라를 만들 수 있었다는 점에서 오페라계에 새로운 발전을 이룰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국립오페라단의 창단은 음악인들을 하나로 결집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오페라 운동을 일으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그렇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국립오페라단의 창단과 더불어 그동안 활동했던 민간오페라단이 자연히 해체됨으로써, 오로지 국립오페라단만이 활동하게 되어 다양한 오페라공연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사라지게 되었다는 점에서는 부정적인 측면도 있다. 한편 1968년에는 국립오페라단의 독주를 깨고 민간오페라단인 김자경오페라단이 창설되었다. 당시 이화여자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던 소프라노 김자경의 오페라에 대한 열정으로 시작된 김자경오페라단은 그 해 5월 창단공연으로 베르디의 <춘희>를 공연했다. 이 작품은 20년 전 우리 음악인들에 의해 제작된 최초의 오페라작품으로서 김자경은 그 당시 프리마 돈나를 맡아 열연했었는데, 단장으로서 다시 주인공을 맡아 의미있는 공연을 마련한 것이다. 김자경의 서거 이후 잠시 공백기를 맞기도 하였지만, 창단 이후 현재까지 숱한 난관을 뚫고 그 명맥을 잇고 있는 김자경오페라단은 특히 새로운 창작오페라를 위촉하여 초연하는 일에 심혈을 기울여 창작오페라발전에 기여한 공로가 크다.
(2) 성장기의 창작오페라
이 기간 동안에 한국창작오페라는 2~3년에 한 편이 초연되는 정도로 그다지 많은 작품이 제작·공연되지는 않았다. 그렇지만 점차적으로 초기오페라의 단순성에서 벗어나 다양한 시도를 통한 완성도 있는 작품들을 제작하게 되면서 창작오페라계는 더 한층 성숙하기에 이른다. 1962년 이후에도 한동안 새로운 창작오페라가 제작되지 않다가 1966년 국립오페라단이 장일남의 <춘향전>이 무대에 올려지면서 오랫동안의 침묵을 깨뜨렸다. 이 공연은 현제명의 <춘향전>에 이은 두 번째 <춘향전>으로, 정재동 지휘와 김정옥 연출로 공연되었다. 1969년에는 김달성의 <자명고>가 공연되었다. 이 작품의 제목은 <자명고>이지만 내용상으로는 호동왕자와 낙랑공주의 이야기를 다룬 것이어서 결국 이 시기까지 공연된 창작오페라는 작곡가가 여러 명이긴 했지만 <춘향전>과 <왕자호동>으로 압축된다. 이 시기까지도 창작의 소재 면에서 빈약함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러다가 1970년에 김자경오페라단 위촉으로 제임스 웨이드(J. Wade)의 <순교자>가 공연되면서 새로운 소재의 창작물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제임스 웨이드는 당시 한국에 머물고 있던 작곡가였는데, 재미동포 김은국의 영문소설로 베스트셀러에 올랐던 같은 제목의 작품을 오페라화하여 무대에 올렸다. 이 오페라는 6·25 전쟁을 소재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고전이나 역사물을 소재로 삼고 있던 이전의 작품들과 차별성을 갖는다. 또한 기법 면에서도 무조주의 기법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고전·낭만 어법으로 된 이전의 창작오페라들과 다르다. 그 뒤를 이어 1971년에는 역시 김자경오페라단 위촉으로 장일남 <원효대사>가 공연되었으며, 1972년에는 박재훈의 <에스더>가, 1975년에는 홍연택의 <논개>가 초연되었다. 이 세 작품 모두 한국사나 성경상의 위인을 소재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또한 1978년에는 김동진의 <심청전>이 공연되었다. 이 작품도 김자경오페라단이 제작한 것으로, 작곡가 김동진이 오랜 기간 동안 주창하던 신창악 운동을 실제 오페라에 적용한 첫 작품이라는 점에서 많은 주목을 받았다. 신창악은 판소리 창법을 양악발성과 접목시킨 것으로, 외형적으로는 서양의 오페라라는 형식을 갖추되 내용적으로는 한국적인 특성이 드러나도록 하려는 작곡가의 의도를 적극적으로 반영한 형식이다. 전정임 (충남대학교 교수)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