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남도노동요(南道勞動謠)

작품/자료명
남도노동요(南道勞動謠)
전승지역
전라남도 함평군 엄다면 엄다리
지정여부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5호
구분
민속악
개요
<남도노동요>는 영산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 전남 서부 평야지역의 긴소리권에서 전승되는 노동요, 특히 들노래를 이르는 말이다. 전남의 들노래는 음악적 특성과 가창 방법으로 보아 크게 세 개의 분포권으로 구분되는데, 영산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 전남 서부 평야지역의 ‘긴소리권’, 섬진강 유역에서 여천과 고흥으로 뻗어 내린 전남 동부지역의 ‘산아지타령권’, 그리고 남해와 서남해 도서 해안지역의 ‘절로소리권’이 그것이다. ‘긴소리권’에 해당되는 지역은 무안군, 함평군, 나주군, 광산군, 영광군, 영암군의 서부 지역, 장성군의 남부 지역, 담양군의 영산강 유역 등지다. 이 지역에서 전승되는 <모찌는소리>, <모심는소리>, <논매는소리>, <장원질노래> 등은 음악성이 뛰어나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내용
함평군 엄다면 엄다리에서 전승되는 남도노동요는 <모찌는소리>, <모심는소리(늦은상사소리, 작은상사소리)>, <논매는소리(무삼벗기는소리, 외주삼장, 긴소리, 들내기소리)>, <풍장소리>, <등짐소리>, <홀태소리>, <개상질소리>, <매통질소리>, <디딜방아소리> 등으로 짜여져 있다. 그 중에서도 <논매는소리>의 <긴소리>가 이 지역의 특성을 대표하는 소리다. <긴소리>는 <논매는소리>의 중심 소리로 느리게 부르기 때문에 <진소리>라고도 한다. 구성음은 ‘도 레 미 파 솔 라’이며 소리가 높은 상성에서 형성된다. 각 마디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지는 않지만 설소리꾼의 능력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된다. 노래의 중간에 높은 청의 구음을 떠는 소리로 길게 이어 내면서 변화를 주면 긴소리의 특성이 훨씬 잘 드러난다. 또 중간에 사설을 읊조리는 식으로 이어가는 창법을 구사하며 설소리 중간에 농군들이 제창으로 “어-그렇제!”하는 샛소리를 지른다. 그래서 소리가 매우 느리지만 힘찬 느낌을 주며, 실제로 소리를 하는 데 힘이 많이 든다.
전승자 정보
<남도노동요>는 천학실(1910.11.5~1991.8.23)에 의해 전승되었다. 천학실은 함평 엄다리에서 태어났으며 젊어서부터 농사일을 하면서 들노래를 익혔고 걸궁패에서 소고잡이를 한 적이 있고 명창 강남중(姜南中)에게서 판소리를 배우기도 했다. 특히 들노래에 관심이 많아 이 지역의 전통 소리꾼들을 찾아 다니며 전승되는 들노래를 배워 30여 곡의 들노래를 익혔다. 그러나 천학실이 작고한 이후 함평 엄다리의 남도노동요 전승이 중단된 상태에 있지만 무안, 함평, 나주 등지에는 천학실이 부른 남도노동요가 온전히 전승되고 있는 지역이 많다. 천학실이 불렀던 남도노동요(들노래)로는 <모찌는소리>, <모심는소리>, <논매는소리>, <풍장소리>, <등짐소리>, <홀태소리>, <개상질소리>, <매통질소리>, <디딜방아소리> 등이 있다.
이미지
음원
연계정보
· 관련도서 <남도노동요 조사보고서>, 전라남도 <문화재도록-도지정문화재편>, 전라남도, 1998 · 관련사이트· 관련가치정보
연계정보
-민요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멀티미디어(전체6건)
이미지 6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