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무속음악

작품/자료명
무속음악
지정여부
김윤수 외
구분
의식음악
개요
무속음악이란 무당의 굿판에서 연주되는 굿음악의 총칭이다. 무의식은 우리 민족의 고유신앙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무악(巫樂)의 기원은 우리 민족의 기원과 함께한다. 무악에 관련된 최초의 문헌기록은 <삼국지>에 보이는데 고구려의 동맹, 예의 무천, 부여의 영고 같은 굿의 성격을 가진 제천행사들이다. 이들 제천행사 때는 제사와 음주가무가 곁들여지는데, 이 과정들은 일종의 굿이며, 여기에 뒤따랐을 음악이 지금의 무악에 해당한다. 이런 유풍은 오늘날 강릉별신굿이나 각 지방의 도당굿에 남아있다.
내용
무속음악은 전지역에 분포되어 있지만 굿음악의 특징에 따라 다섯 지역으로 구분된다. 첫째, 육자배기 형식은 한강을 경계로 경기남부와 충청도·전라도·경상도 서남부 지역이 중심을 이룬다. 둘째, 메나리 형식은 경상도 동북부와 강원도 동부지역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셋째, 수심가 형식은 평안도와 황해도 지역이 중심이 된다. 넷째, 창부타령 형식의 굿음악은 경기도 북부와 강원도 서북지역이 중심이 되고, 마지막은 제주지역의 굿음악이다. 각 지역의 음악적 특징 중에 음계나 선법의 차이보다 선율상의 시김새를 중요시하는 ‘토리’라는 용어로 사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황해도와 평안도 지방은 서도토리 무가권, 서울 경기지방은 경토리 무가권, 충청도·전라도 지방은 육자배기토리 무가권, 경상도·강원도·함경도 등 동해지방은 메나리토리 무가권, 제주지방은 제주토리 무가권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굿에 나오는 많은 노래는 모두 무당이 부르기 때문에 무가라고도 한다. 무당은 굿노래를 통해서 신을 청하고 위로하기 때문에 굿노래는 굿을 수행하는데 필수적이다. 굿노래는 여러 형태가 있어서 일정한 장단에 맞춰 부르는 노래, 일정한 장단없이 자유리듬으로 부르는 노래, 또는 무당이 혼자서 부르는 것, 잽이들과 함께 주고 받으며 부르는 노래, 악기반주와 함께 부르는 일정한 선율의 노래, 혼자서 즉흥적으로 부르는 노래 등이 있다. 굿춤 또한 굿노래와 마찬가지로 특별한 명칭이 없기 때문에 흔히 절차의 명칭으로 대신하거나 정주춤·넋전춤·바라춤 등 춤을 출 때 들고 추는 소도구 이름을 붙여 춤이름으로 쓴다. 무속음악에서 기악연주곡의 곡명은 대개 장단의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데, 거의 춤 반주음악으로 사용된다. 서울 천신굿의 음악은 염불·굿거리·당악 등이 중심이 되고, 경기도 도당굿의 음악은 경기시나위 가락이 중심이며 염불·굿거리·당악 등 서울굿에서 사용하는 음악도 포함하고 있다. 황해도 철물이굿의 음악은 노래반주를 제외하면 허튼타랑 가락이 중심이고, 진도 씻김굿의 음악은 남도시나위 가락이 중심이다. 타악만으로 연주하는 동해안 별신굿의 음악은 청보무가와 주고 받으며 연주하는 청보장단 가락이 중심이고, 제주도 영등굿의 음악은 중중모리·자진모리 장단형의 장단가락이 중심이다. 서울 천신굿·경기도 당굿·황해도 철물이굿·진도 씻김굿은 선율악기가 중심이 되고, 동해안 별신굿·제주 영등굿은 타악기가 중심이 된다. 반면에 경기도 도당굿과 진도 씻김굿은 선율악기의 음악과 함께 타악기로만 연주하는 음악도 발달되어 있다. 굿에서 사용하는 선율악기는 피리·대금·해금·아쟁·새납 등이고 타악기는 꽹가리·징·북·놋그릇 등이다. 음악적 특징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서울지역의 굿음악은 창부타령으로 대표되는 솔음계를 가지며, 경기 남부와 전라도 지방은 육자배기조로 대표되는 꺽는 음을 사용하는 미음계이다. 경상도·강원도 지역의 굿음악은 미음계(메나리조)이고, 황해도 지방은 라음계(허튼타령)과 수심가조의 레음계로 나타난다. 그리고 제주도 지방의 굿음악은 오돌또기 혹은 서우젯소리의 특징을 갖고 있다.
제주 칠머리당굿
제주시 건입동의 본향당(本鄕堂)인 칠머리당에서 하는 굿으로, 마을 수호신인 두 부부에게 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빈다. 부부수호신과 함께 내방신(來訪神)인 영등신을 맞이하는 굿도 한다. 당굿은 칠머리당에서 음력 2월 1일에 영등환영제와 2월 14일에 영등송별제로 한다. 주민들은 영등신이 환영제보다 성대한 송별제를 받고 이튿날인 15일에 구좌읍 우도(牛島)에서 다시 송별제를 받은 뒤 떠난다고 믿는다. 따라서 환영제는 간소하게 굿을 하고, 송별제는 큰굿으로 치른다.
진도 씻김굿
망자가 이승에서 맺힌 원한을 풀어 극락왕생하도록 기원하는 굿이다. 장단은 흘림·대학놀이·진양조·삼장개비·마음조시·선부리·굿거리·중중모리·떵떵이· 살풀이·중모리·자진모리·무장구 등이며, 무가의 형식은 홀로 불러가는 통절형식(通節形式)과 선소리로 메기고 뒷소리로 받는 장절형식(章節形式)으로 되어 있다. 선율의 부침새와 여러가지 세련된 목구성을 구사하여 매우 흥겹고 아름다운 음악으로 되어 있다. 춤은 망자의 한을 풀어주는 지전(紙錢)춤을 위주로 한다.
풍어제
바다를 낀 해안지방에서 마을의 평안과 고기를 많이 잡기를 비는 제사가 풍어제이다. 풍어제는 육지 또는 바다위에서 무당이 춤과 노래를 곁들인 굿을 하여 제사를 축제분위기로 이끈다. 마을마다 제사내용과 진행과정이 달라 동해안 별신제와 서해안 대동굿처럼 마을 전체의 공동제사가 있는 반면 배를 갖고 있는 배주인이 벌이는 서해안의 배연신굿이 있다. 굿은 마을산에 신당을 모셔놓고 굿을 하거나 마을을 돌면서 하는 굿, 바다에 빠져 죽은 사람의 집에서 용신과 해신에게 밥을 주는 용왕굿 등 다양하다.
동해안 별신굿
마을의 풍요와 어민들이 고기를 많이 잡을 수 있도록 기원하는 마을굿으로 부산에서 강원도에 이르는 동해안 지역에서 1년 또는 2∼3년마다 열린다. 굿은 집안 대대로 굿을 해 온 세습무당이 하며, 부정굿·골맥이청좌굿·당맞이굿·화해굿·각댁성주굿·천왕굿·심청굿·손님굿·황제굿·부인곤반굿·용왕굿·꽃노래굿·대거리굿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굿을 하는 시기는 대체로 3∼5월, 9∼10월 사이이며 굿청의 장식이 화려한데 비해 무당의 의상은 비교적 소박하다. 동해안 별신굿은 굿에서 추는 춤은 다양하고 익살스런 대화와 몸짓 등 오락성이 강하다.
서해안 배연신굿과 대동굿
마을의 평안과 고기를 많이 잡을 수 있도록 기원하는 굿으로 강신무이다. 황해도 해주와 옹진, 연평도 지방의 마을에서 해마다 행해진다. 배주인이 벌이는 굿으로, 바다에 배를 띄우고 그 위에서 굿을 한다는 점이 특이하며 화려하고 규모가 크며 놀이적인 요소가 많고 아기자기하다. 굿은 신청울림·당산맞이·부정풀이·초부정·초감흥·영정물림·소당제석·먼산장군거리·대감놀이·영산할아밤·할맘·쑹거주는 굿·다리발용신굿·강변굿으로 진행된다. 대동굿은 마을 사람들 모두의 이익을 빌고 단결을 다지는 마을의 축제로 음력 정월이나 2·3월에 주로 하며 무당이 하는 굿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대동굿은 산에서 소원을 비는 굿을 하고, 마을의 각 가정에서 세경굿을 한 후 바닷가를 돌며 강변용신굿을 하여 마을전체가 굿 공간이 된다.
위도 띠뱃놀이
마을의 평안과 어민들이 고기를 잘 잡을 수 있도록 기원하는 굿으로, 부안군 위도면 대리 마을에서 매년 1월초에 열린다. 띠뱃놀이는 바닷가에서 용왕굿을 할 때 띠배를 띄워보내기 때문에 띠뱃놀이라 불려졌고 소원을 빌기 위해 세운 집인 원당에서 굿을 하기 때문에 원당제라고도 한다. 수호신을 모신 원당에 올라가 제물을 차리고 굿을 한 후 마을로 내려와 마을의 산을 돌고 바닷가에서 용왕굿을 함으로써, 굿의 공간이 산과 마을, 바다로 이어진다. 굿은 강신무로, 성주굿·산신굿·손님굿·지신굿·서낭굿 1(원당·본당서낭)·서낭굿 2(애기씨서낭)· 서낭굿 3(장군서낭) ·깃굿·문지기굿으로 진행된다.
남해안 별신굿
마을의 평안과 장수를 기원하며 어민들이 고기를 많이 잡을 수 있기를 비는 굿으로, 남해안의 통영과 거제도를 중심으로 2년에 한번씩 열린다. 무당의 노래가 뛰어나고 반주악기에 북이 첨가되는 것이 특징이다. 동해안 별신굿과 달리 진행과정에서 무당이 악사와 주고 받는 재담이 극히 드물고 사설이 없으며 굿이 진지하다. 굿은 들맞이·당산굿·일월맞이굿·용왕굿·부정굿·가망굿·제석굿·서낭굿·댓굿·손굿·염불굿·군웅굿·거리굿으로 진행된다. 춤은 비교적 단조롭고 소박하며 혼자 추는 독무가 많다. 굿의 시작에는 청신악, 끝부분에서는 송신악을 하는데 이때에는 대금으로만 연주한다.
경기도 도당굿
경기도 일대의 한강 이남 지역에 전승하던 마을굿이다. 경기도는 신이 내려서 무당이 되는 강신무의 지역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대를 이어서 무당이 되는 세습무 집안도 남아 있다. 그들의 세습무속은 호남의 단골 무속과 유사한 점이 많았고, 대를 이어서 기예능을 연마하기 때문에 음악와 춤이 강신무들보다는 월등하다. 경기도 도당굿은 다른 지방의 도당굿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남자무당인 화랭이들이 굿을 하며, 음악과 장단도 판소리기법을 따르고 있어 예술성이 뛰어나다.
서울 새남굿
서울지역의 전통적인 망자천도굿에 속한다. 서울지역의 망자천도굿은 일반적으로 진오기(또는 진오귀)라 불렸는데, 사회의 상류층이나 부유층을 위해 베풀어지던 것이 새남굿이다. 새남굿에는 불교의 저승신앙 내용과 망자에 대한 유교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어 무(巫)·불(佛)·유(儒)의 종교습합을 보여준다. 새남굿은 궁중의 화려한 복식과 우아한 춤사위, 그리고 각종 정교한 의례용구를 갖추고 있다.
전승자 정보
중요무형문화재 71호 칠머리당굿의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는 무가(巫歌) 김윤수(金允洙)이며, 전수교육보조자는 악사(樂士) 고순안(高順安), 무녀(巫女) 이용순(李龍順)이다.중요무형문화재 72호 진도 씻김굿의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는 무악(巫樂) 박병천(朴秉千)이며, 무가(巫歌) 김대례(金大禮), 악사 박병원(朴秉元)이다. 전수교육보조자는 무가 정숙자(鄭淑子)와 송순단(宋順丹)이고, 악사 김오현(金吾炫)이다.중요무형문화재 82호 풍어제는 동해안 별신굿, 서해안 배연신굿 및 대동굿, 위도 띠뱃놀이, 남해안 별신굿이 부속되어 있다. 동해안 별신굿은 중요무형문화재 82-1호로 지정되었으며,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는 악사(樂士) 김석출(金石出), 무녀(巫女) 김유선(金有善)이며, 전수교육보조자는 장고 김용택(金用澤), 무녀 김영희(金英熙)이다. 서해안 배연신굿 및 대동굿은 중요무형문화재 82-2호로 지정되었고,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는 악사 최음전(崔音全), 무녀 김금화(金錦花), 배치기 노래와 장식 안승삼(安承三)이다. 전수교육보조자는 새납 최수경(崔壽敬), 배치기 노래에 차희동(車希東)과 김창규(金昌奎), 무녀 김경화(金景華), 장고 김금전(金錦全), 무녀 김매물(金梅勿)이다.위도 띠뱃놀이는 중요무형문화재 82-3호로 지정되었으며,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는 장고 김상원(金相元), 전수교육보조자는 장고 이종순(李宗順)이다. 남해안 별신굿은 중요무형문화재 82-4호로 지정되었고,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는 악사 피리에 정영만(鄭榮晩), 전수교육보조자는 무녀 백정자(白丁子)와 김현숙(金玄淑), 악사 장고 공대원(孔大元)이다.경기도 도당굿은 중요무형문화재 98호로 지정되었고,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는 무녀 오수복(吳壽福)이다.서울 새남굿은 중요무형문화재 104호로 지정되었고,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는 무녀 김유감(金有感), 전수교육보조자는 악사 김정치(金正治), 무녀 이상순(李相順)이다.
연계정보
재구성국악대사전, 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1984.전통음악개론, 김해숙·백대웅·최태현 공저, 도서출판 어울림, 1997.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일조각, 1984.한민족음악론, 권오성, 학문사, 1999.http://www.ncktpa.go.kr 국립국악원http://www.koreandb.net 디지털한국학http://www.ocp.go.kr 문화재청
관련도서
국악대사전, 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1984. 전통음악개론, 김해숙·백대웅·최태현 공저, 도서출판 어울림, 1997. 최신국악총론, 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199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91. 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일조각, 1984.
관련사이트
풍류마을
관련사이트
국립국악원
관련사이트
디지털한국학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