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보허자(步虛子)

작품/자료명
보허자(步虛子)
구분
정악
개요
'보허자(步虛子)'는 송나라의 사악(詞樂) 중에서 유일하게 악보와 가사가 전하는 당악곡이다. '고려사' 악지에 따르면, 당악정재 '오양선' 중에 보허자령의 벽연롱효사(碧煙籠曉詞)가 창사(唱詞)로 불렸으며, '악학궤범' 권3에서도 창사로 불렸다. '보허자'는 세조 때 이미 향악화되어 '대악후보'에 기보되었는데, 그 곡이 거문고로 연주되었는지는 분명치 않다. 거문고로 연주된 '보허자'가 최초로 소개된 고악보는 '금합자보'(1572)이고, 그 이후의 악보가 '금보신증가령'(1680)인데, 17세기 후반에도 '보허자'는 모두 가사를 지닌 성악곡이었다. 그러나 '보허자'가 성악곡에서 기악곡화되는 역사적 변천이 18세기에 일어나서, 기악화된 '보허자'가 '보허사'라는 이름으로 '어은보'에, 그리고 '보허자'라는 이름으로 '한금신보'에 각각 전한다. 본래 당악곡의 하나였던 '보허자'가 조선 후기에 '관악보허자'와 '현악보허자'로 나뉘어 발전되었는데, '장춘불로지곡'으로 알려진 '관악보허자'는 주로 궁중에서 연주되었으나, '보허사'로 알려진 '현악보허자'는 주로 민간 풍류방에서 연주되었다. '현악보허자'가 조선 후기의 풍류객들에 의해 널리 연주됨에 따라 '미환입'·'세환입'·'양청환입'·'우조가락환입' 같은 변주곡들이 파생되었다.
내용
현행 보허자는 원래 <보허자>의 초장·3장·4장에서 발췌하였으며, <관악보허자> 혹은 <장춘불로지곡(長春不老之曲)>이라는 아명(亞名)으로 불린다. <보허자>는 당악정재인 <오양선>의 창사였고, 그 창사는 미전사와 미후사로 구성된다. 전단(미전사)를 부르고 후단(미후사)를 부를 때는 후단 첫 구절의 가락만 전단과 다르게 부르고 둘째 구 이하는 전단의 가락을 그대로 반복하는 형식으로 노래한다. 후단 첫 구절의 가락을 환두라 하고 둘째 구절 이하의 반복하는 가락을 환입이라 한다. 미전사(尾前詞)의 내용은 “푸른연기 새벽 하늘에 자욱한데, 바다 물결 한가롭고, 강가의 몇 봉우리 차갑도다. 패환 소리 속의 기이한 향기, 인간세상에 나부끼는데, 강절이 오색 구름 끝에 멈추도다.”(碧煙籠曉 海波閑 江上 數峰寒 佩環聲裡 異香 飄落人間 弭絳節 五雲端) 이며, 미후사(尾後詞)의 내용은 “완연히 함께 아름다운 벼의 상서 가리키고, 한차례 웃어 붉은 얼굴 웃음 띠도다. 구중의 높은 궁궐 바라보는 가운데, 하늘을 향해서 만만년 두고두고 남산처럼 수하시기를 빌도다.”(宛然共指 嘉禾瑞 微一笑 破朱顔 九重嶢闕 望中 三祝堯天 萬萬載 對南山)이다. <대악후보>에서 <보허자>의 가사는 매 16정간의 1행에 한 글자씩 기록되었고, 4행마다 박이 한 번씩 들어갔다. 대체로 <보허자>는 한 글자가 차지하는 시가(時價)가 같으므로, <보허자>의 리듬은 본래 4분의 4박자의 일자일음식(syllabic style)으로 된 성악곡이다. <대악후보> 권6의 <보허자> 악보 44행 위에 환입(還入)이란 표시가 있다. 환입이란 말은 글자 뜻대로 다시 돌아들어 간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용어는 <보허자>의 형식을 아는데 중요하다. <보허자>의 미전사 첫 부분인 ‘벽연롱효해파’의 선율과 미후사 첫 부분인 ‘완연공지가화서’의 선율만 서로 다르고, 미전사 ‘강상’ 이하와 미후사 ‘미일소’ 이하의 선율은 서로 같다. 따라서 <보허자>의 형식은 환입형식 또는 도드리형식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환입형식은 앞부분만 서로 다르고 뒷부분은 반복하라는 서양음악의 달쎄그노(Dal Segno) 형식과 비슷하다. <보허자>의 악기편성은 편종·편경·당피리·당적·대금·해금·아쟁·좌고·장고 등의 편성으로 당악계 음악에 속하나 향피리·대금·당적·해금·아쟁·좌고·장고 등 향악기로만 연주하기도 한다. <보허자>의 음계는 당피리 중심으로 연주하기도 하고 향피리 중심으로 연주하기도 하므로 음계도 두 형태로 구분되지만 모두 솔음계이다. <보허자>는 당악계 음악에 속하지만 일정한 장단을 갖고 있다. 3분박 20박의 장단형으로 6·4·4·6 구조로 네 개의 소단위로 나누어진다.
보허사
<보허사>는 당악계 <보허자>가 향악화한 것으로 그 이름은 영조 이후부터 쓰였다. 현재 <보허사>는 순조 때의 고악보 <유예지> 악보와 같으며, 현재의 <관악보허자> 보다 옛 형태를 비교적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황하청>이라고도 부르는 <보허사>는 관악기 중심의 <관악보허자>와 달리 현악기로만 연주하는 까닭에 <현악보허자>라 부르기도 한다. 현행 <보허사>는 음계와 장단 등이 뚜렷한 향악화의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모두 7장 88장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허사>의 악기편성은 가야금·거문고·양금 등 현악기로만 이루어진다. 또한 <보허사>의 악곡 구성 형태가 원래의 <보허자>에 가깝다고 하지만 음악내용은 모두 향악화 되어 음계는 전형적인 솔음계(평조)이다. <보허사>는 7장으로 구성되며 1·2·3·4장은 느린 3분 20분 박의 장단형을, 조금 빠른 5·6·7장은 3분박 10박의 장단형을 사용한다.
악보정보
<대악후보> 1759년(영조 35) 학자인 서명응(徐命膺)이 <대악전보(大樂前譜)>와 아울러 집대성한 것이다. 7권 7책이며 필사본이 국립국악원에 전한다. 세종조악(世宗朝樂)을 <대악전보>, 세조조악(世祖朝樂)을 <대악후보>라 하였으나, 이 악보집의 권3부터는 당시의 향악보(鄕樂譜)를 위주로 실었으므로, 꼭 세조 때의 음악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금보신증가령> 1680년(숙종 6) 신성(申晟)이 편찬한 필사본의 거문고 악보이며, <현금신증가령>·<신증금보>라고도 불린다. 합자보와 육보로 기보된 이 악보의 내용은 <만대엽>·<중대엽>·<북전>·<삭대엽>·<조음>·<여민락>·<보허자>·<영산회상.으로 구성되었다. <한금신보> 영 ·정조연간에 씌어진 것으로 추정되나 저자는 알 수 없다. 1책 54면으로 한장본(韓裝本)이며, 서울대학교 음대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다. 내용은 둘째 면에서 여섯째 면까지는 거문고와 거문고 조현법에 관한 설명이, 일곱째 면 이하에는 합자보(合字譜)에 육보(肉譜)를 곁들인 악보가 수록되었다. <보허자본환입(步虛子本還入)>·<보허자삭환입(步虛子數還入)>·<보허자제지(步虛子除指)>가 기보되어 있다. <유예지> 서유구(徐有矩)의 <유예지(遊藝志)>는 거문고 악보로서 18세기 말과 19세기 초의 음악연구에 매우 중요한 악보인데, 가악과 <영산회상>·<보허자> 계통의 음악을 수록하고 <당금자보(唐琴字譜)>·<양금자보(洋琴字譜)>·<생황자보(笙簧字譜)>가 아울러 수록되어 있다. <삼죽금보> 서문에 1721년(경종 1) 명금(名琴) 홍기후(洪基厚)의 제자 이승무(李昇懋)가 지은 것으로 되어 있으나, 뒤에 편찬은 고종 때 이루어졌으며 이승무는 나중에 서문만 붙인 것으로 밝혀졌다. 1책의 필사본으로 국립국악원에 소장되어 있다. 당시 명금들의 탄법(彈法)과 가락 등이 상세히 소개되어 있다. 서(序)·범례·조현·<보허사>·<여민락>·<본환입>·<노군악>·<가군악>, 우조(羽調)의 각조(各調), 계면조(界面調)의 각조와 시조 등이 16정간(井間)에 육보(肉譜)로 표기하였다. <현금오음통론> 윤용구(尹用求)의 저서로 1886년(고종 23)에 간행되었다. 1책의 필사본으로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은 5음(五音)과 격조(格調), <여민락(與民樂)>·현금도(玄琴圖)·휘금식도(徽琴式圖)·휘금학문입식(徽琴學門入識)·우조장리음(羽調長理音)과 육보(肉譜)로 표기한 거문고 악보를 싣고 있다. 각 조(調)의 여러 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현행 거문고 가락은 거의 완비되어 있다.
연계정보
재구성국악대사전, 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1984.전통음악개론, 김해숙·백대웅·최태현 공저, 도서출판 어울림, 1997.최신국악총론, 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1995.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89.한민족음악론, 권오성, 학문사, 1999.http://www.ncktpa.go.kr 국립국악원http://www.koreandb.net 디지털한국학http://www.ocp.go.kr 문화재청
관련도서
국악대사전, 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1984. 전통음악개론, 김해숙·백대웅·최태현 공저, 도서출판 어울림, 1997. 최신국악총론, 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199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89. 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일조각, 1984. 한민족음악론, 권오성, 학문사, 1999.
용어해설
* 밑도드리'밑도드리[尾還入]'는 '현악보허자'의 파생곡으로 환입 가락 이하를 변주한 곡이며, '수연장지곡(壽延長之曲)'이라고도 한다. 이 곡은 도드리가 원 이름이었으나, 옥타브 위로 올린 '웃도드리'가 생긴 후 두 곡을 구분하기 위해 아래의 도드리라는 뜻에서 '밑도드리'라고 하였다. '밑도드리'는 현행 '보허사'의 2장 일곱째 장단 이하 7장까지 2분의 10박 한 장단을 4분의 6박으로 변주한 곡이다. 7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편성악기는 거문고·가야금·해금·피리·대금·장고 등이다.* 웃도드리'웃도드리[細還入]'은 '현악보허자'의 파생곡으로, '밑도드리'를 8도 위로 변조하여 가락을 다채롭게 변화시킨 곡으로 '잔도들이'·'소환입'·'송구여지곡(頌九如之曲)'이라고도 한다. 장의 구분·조·각기편성은 모두 '밑도드리'와 같다.* 양청도드리'양청도드리[兩淸還入]'는 '현악보허자'의 파생곡으로, 6박자인 '웃도드리'의 매 장단에서 중요음 2개씩을 뽑아서 이 두음 앞에 개방현인 문현음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변주한 곡이다. 즉 6/4박자인 '웃도드리'를 12/8박자의 음악으로 바꾼 것이다. 현재의 '양청도드리'의 7장은 '우조가락도드리'의 리듬으로 되어 있다.* 우조가락도드리'우조가락도드리[(羽調加樂還入)'는 '현악보허자'의 파생곡으로, 우조의 가락에 의한 도드리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며 '양청도드리'를 우조의 가락으로 변주한 곡이다. 한 장단 12박자이고, '우조가락'의 한 장단은 '도드리'나 '양청'의 2장단에 해당한다. 조와 장의 구분, 악기편성은 '양청도드리'와 같다.* 계면가락도드리'계면가락도드리[界面加樂還入]'는 '현악보허자'의 파생곡으로, 계면조로 연주하는 도드리라는 뜻의 곡이다. 명칭으로는 '우조가락도드리'와 대칭을 이룬다. '삼죽금보'에는 '굿도들이'로 소개되어 있는데 장별없이 12/8박자 42장단으로 되어 있다.* 환두형식환입형식(還入形式: 도드리형식)과 비슷한 뜻으로도 쓰이나 환두란 ‘곡의 머리부분만을 바꾼다’라는 뜻이다. 가령 '보허자(步虛子)' '낙양춘(洛陽春)' 등의 가사가 A·B·C·D의 미전사(尾前詞)와 X·B·C·D의 미후사(尾後詞)로 되었다면 X는 A와 다르므로 환두가 되는 것이고, B 이하는 같은 가락이므로 도드리가 되는 것이다
관련사이트
풍류마을
관련사이트
국립국악원
관련사이트
디지털한국학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멀티미디어(전체4건)
이미지 4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