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영산회상(靈山會相)

작품/자료명
영산회상(靈山會相)
구분
정악
개요
초기의 영산회상은 ‘영산회상불보살’이란 불교적 가사를 가진 관현반주의 성악곡이었으며 상령산 한 곡이었다. 15세기의 음악을 기록한 <대악후보>와 1493년에 만들어진 <악학궤범>에 기록된 영산회상은 처음에는 영산회상불보살(靈山會相彿菩薩)이라는 불교가사를 관현악 반주로 노래하던 불교음악이었으며, 또한 성종(1469~1494)때 향악정재인 학연화대처용무합설의 반주 음악으로 사용되었다고 전한다. 이와 같이 본래 불교의 성악곡이던 영산회상이 중종(1506~1544)때 이르러 불교가사가 수만년사로 바뀌면서 세속화되었다. 17세기 후반에 영산회상은 기악곡화되었다고 추측한다. 이는 <금보신증가령>의 영산회상 악보에 한문가사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이렇게 기악곡화된 영산회상은 18세기 전기에 차츰 풍류방에서 풍류객들의 관심을 끌게되어 널리 연주되었다. 그 결과 18세기 전기의 영산회상은 영산회상갑탄·영산회상환입·영산회상제지라는 새로운 형태의 파생곡으로 발전했다. 18세기 말기에 영산회상의 여러 악곡들을 담은 거문고악보가 <유예지>인데, 이 악보에 상령산·중령산·세령산·가락더리·삼현환입은 어느 정도 현행 것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었으나, 하현환입·염불환입·타령·군악은 아직 형성단계에 있었다. 19세기 전기의 영산회상은 <삼죽금보>에 기보되었고, 후기는 <현금오음통론>과 <학포금포>에 기보되어 전한다. 현행 영산회상의 악곡형성과 명칭은 19세기 후반기에 완전히 갖추어졌고, 그 전통이 20세기를 거쳐 오늘까지 전승되고 있다.
내용
<영산회상>은 정악에 속하는 대표적인 기악합주곡으로 상령산(上靈山)·중령산(中靈山)·세령산(細靈山)·가락더리·삼현환입(三絃還入)·하현환입(下絃還入)·염불환입(念佛還入)·타령(打令)·군악(軍樂) 이상 아홉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늘날 연주하는 <영산회상>은 세가지로 구분되어 있다. 첫째는 <중광지곡(重光之曲)> 또는 <줄풍류>라고 불리는 <현악영산회상>이고, 둘째는 <표정만방지곡(表正萬方之曲)> 또는 <대풍류>라고 불리는 <관악영산회상>이며, 셋째는 현악영산회상을 완전4도 아래로 이조한 <평조회상(平調會上)>, 일명 <유초신지곡(柳初新之曲)>이다. 넓은 뜻의 <영산회상>은 세 가지 종류를 모두 포함하지만, 좁은 의미의 <영산회상>은 <현악영산회상>을 가리킨다. <영산회상>은 조선 후기 지방의 선비나 부유하고 지식을 갖춘 중인 출신의 풍류객들이 발전시켰고, <관악영산회상>은 주로 궁중에서 정재반주음악으로 사용되었다. <평조회상>은 <영산회상>을 완전 4도 아래로 이조하여 만든 악곡으로 음악사적으로 후대에 속한다. <현악영산회상>의 장단을 살펴보면, 상령산·중령산은 20박이 한 장단이며 6·4·4·6박의 불균등한 네 마디(네 대강)로, 세령산·가락덜이는 10박이 한 장단이고 3·2·2·3의 불균등한 네 마디로 나뉜다. 삼현도드리·하현도드리·염불도드리는 6박이 한 장단이며 상령산 등과는 리듬구조가 다르다. 타령·군악은 4박이 한 장단이다. 이렇게 장단구조가 각기 다른 여러 곡이 모여 큰 한 곡을 이룬다. <현악영산회상>의 악기편성은 가야금·거문고·세피리·대금·해금·장고 이외에 양금·단소가 첨가되기도 한다. 각 악기 하나씩 단잽이 편성이지만 경우에 따라 복수편성하여 연주하기도 한다.현악영산회상은 소규모로 편성되기 때문에 음량이 적은 세피리를 사용하고, 대금에서는 주로 저취(低吹)와 평취(平吹)로 연주하여 현악기와 조화를 이룬다. 이것은 일종의 실내악과 같은 연주형태를 보여주며, 장고는 복판을 사용하지 않고 변죽을 사용한다. 해금은 원산을 갓으로 옮겨서 공명을 적게 하여 음량을 축소하여 연주한다. 음악적 특징은 첫째, 아홉곡이 서로 변주곡 또는 장별반복, 환두·환입 관계를 이루고 둘째, 동일한 선율이 반복되면서 4장으로의 장별 구분이 뚜렷하며 셋째, 선율흐름이 기승전결 또는 음양의 대비로 짜여졌다는 것이다. 또한 판소리나 산조처럼 감정의 변화가 크지 않고, 완만한 가운데 기승전결의 짜임이 뚜렷한 것과 다양한 리듬구조의 곡들이 하나로 묶인 점에서 근대 음악으로 이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관악영산회상(표정만방지곡, 대풍류)>는 <현악영산회상>의 아홉 곡 중 하현도드리가 빠진 여덟 곡으로 이루어지며 악곡의 장단 수는 <현악영산회상>과 같다. <관악영산회상>의 상령산 장단은 ‘기덕 쿵·기덕·쿵·덩더르르’의 패턴으로, 한 장단이 불균등한 네 마디로 나뉘며 박자의 수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불규칙하다. <평조회상(유초신지곡)>은 <관악영산회상>과 같은 여덟 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악기편성은 <현악영산회상>과 별로 다르지 않으나 세피리 대신 향피리·아쟁·좌고 등을 추가 편성하기도 한다.
악보정보
<대악후보> <영산회상>의 가장 오래된 악보이다. 영산회상불보살(靈山會相佛菩薩)이라는 가사를 악보 20정간(井間) 2행에 붙였고, 장의 구별이 없다. 이 고악보가 <영산회상>의 원천이다. <금보신증가령> 1680년에 간행된 임진왜란 이후 영산회상의 악곡을 담은 최초의 거문고악보이다. <어은보> 17세기 전기에 간행되었으며, 영산회상의 첫번째 변주곡인 영산회상갑탄(甲彈)이란 명칭이 처음 등장한다. 갑탄이란 높이 탄다는 뜻이로 거문고의 유현 4괘로 연주된 영산회상을 유현 7괘로 높이 변주시킨 곡이란 뜻이며, 그 변주곡은 현행 중령산이다. <한금신보> 18세기 전기의 <영산회상>이 기록되었으며, 영산회상·영산회상환입·영산회상제지(除指)라는 명칭의 세 악곡이 기보되었다. 영산회상의 도드리(換入)과 가락더리(除指)라는 새로운 형태의 변주곡이 나타났다는 사실은 영산회상의 발전단계를 알려주는 좋은 증거이다. <유예지> 18세기 말기에 간행되었으며, <영산회상>의 나무아미타불 같은 육자염불을 채용한 염불과 경쾌한 리듬의 타령·군악이 <유예지>에 각각 독립한 곡으로 처음 나온다. 육자염불 끝의 경삼회(磬三回)같은 음의 묘사가 기악곡에 등장한 점이 주목된다. 현행 <영산회상>의 연주곡목을 두루 갖추기 시작했다. <삼죽금보> 19세기 전기의 <영산회상>이 기보되었으며, 영산회상·중령산·소령산·가락더리·환입·염불·타령·군악의 여덟 곡으로 구성되었다. 삼현환입 대신에 환입이란 명칭이 쓰인 점, 하현환입이 빠진 점, 상령산이란 명칭이 아직 쓰이지 않은 점, 군악이 유현 5괘로 연주된 점, 세령산이란 명칭 대신 소령산이 쓰인 점이 특징이다. <학포금보> 19세기 후반의 <영산회상>이 기보되었으며, 대령산·중령산·세령산·가락환입·삼현환입·하현환입·염불·타령·군악과 권마성(勸馬聲)으로 구성되었다. <현금오음통론> 19세기 후반의 <영산회상>이 기보되었으며, 본령산·중령산·세령산·가락환입·삼현환입·하현환입·염불·타령·군악과 변조(變調)로 구성되었다.
연계정보
재구성국악대사전, 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1984.전통음악개론, 김해숙·백대웅·최태현 공저, 도서출판 어울림, 1997.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일조각, 1984.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91.한민족음악론, 권오성, 학문사, 1999.http://www.ncktpa.go.kr 국립국악원http://www.koreandb.net 디지털한국학http://www.ocp.go.kr 문화재청
관련도서
국악대사전, 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1984. 전통음악개론, 김해숙·백대웅·최태현 공저, 도서출판 어울림, 1997. 최신국악총론, 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199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91. 한국음악서설, 이혜구, 서울대출판부, 1967. 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일조각, 1984. 한민족음악론, 권오성, 학문사, 1999.
용어해설
* 천년만세계면가락도드리·양청도드리·우조가락도드리의 세 곡을 이어서 연주할 때 부르는 이름이며, 영산회상처럼 소규모의 실내악 편성으로 연주한다. 계면가락도드리는 12/8박, 타령장단으로 짜인 흥취있고 유연한 곡이다. 장별 구분없이 42장단인데, 후반부는 전반부의 가락을 반복하여 끝나고 있어 환입(돌아 들어감) 형태를 취하고 있다. 양청도드리는 12/8박이지만 빠른 4박이며 경쾌하다. 두 청(옥타브)의 연속으로 짜여진 곡이며 7장으로 나뉜다. 4장은 1장의 반복으로 환입형식이다. 우조가락도드리는 느린 4박이다. 우조가락도드리의 템포는 계면가락도드리와 같고, 음계 및 7장의 구분, 환입형태는 양청도드리와 같다.* 밑도드리6박 한 장단으로 연주되는 전 7장의 실내악곡. 일명 수연장지곡. 원 보허자(대악후보 소재)의 미후사 둘째 구절 이하(환입 가락)을 변주한 곡이다. * 웃도드리밑도드리를 옥타브 위로 올려 조금 변주한 곡. 일명 송구여지곡. 음계·장단·장 구분은 밑도드리와 같다.* 별곡<영산회상>을 상령산부터 군악까지 차례로 연주하지 않고 도드리를 곁들여 여러가지로 곡구성을 다르게하여 연주할 때 별곡이라 부른다. 별곡의 연주방법은 네 가지 종류가 있다. 첫째, <영산회상> 중 상령산부터 연주하여 상현도드리 4장 끝에서 변주하여 도드리로 넘어가고, 도드리 7장 끝에서 다시 계면조로 변주하여 상현도드리 4장으로 넘어간 다음 군악까지 연주하고, 계면도드리·양청도드리·우조가락도드리를 연주하는 방법이다. 둘째, <영산회상> 중 상령산부터 연주하여 상현도드리4장 끝에서 변주하여 도드리로 넘어가고, 도드리 7장 끝에서 다시 계면조로 변주하여 상현도드리 4장으로 넘어간 다음 군악까지 연주하는 방법이다. 셋째, 도드리 7장 끝에서 계면조로 변주하여 영산회상 중 상현도드리 4장으로 넘어간 다음 군악까지 연주하고, 이어서 계면도드리·양청도드리·우조가락도드리를 연주하는 방법이다. 넷째, 도드리 7장 끝에서 계면조로 변주하여 영산회상 중 상현도드리 4장으로 넘어간 다음 군악까지 연주하는 방법이다.
관련사이트
풍류마을
관련사이트
국립국악원
관련사이트
디지털한국학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멀티미디어(전체30건)
이미지 30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