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밀양감내게줄당기기

작품/자료명
밀양감내게줄당기기
전승지역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감천리
지정여부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7호
구분
민속놀이
개요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府北面) 감천리에서 정월 대보름날을 전후하여 마을 사람들이 즐기던 민속놀이로, 게(蟹)잡이를 하는데 좋은 자리를 먼저 차지하려는 데서 유래되었다고 하며, 일명 ‘끼줄땡기기’라고도 한다. 1983년 8월 12일 경상남도무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되었다.
흐름
마을 중심을 흐르는 감내는 화악산(華嶽山)에서 발원한 부북천의 하류로, 감내들을 지나 밀양강으로 합류하는 개천이다. 이웃마을 제대리(提大里)에서 김종직(金宗直)이 태어난 이후 냇물맛이 달다 하여 감천이라는 지명이 생겼는데, 이 감천을 식수로 사용했던 당시에는 물맛이 좋기로 유명했다. 이 감천에 예부터 게가 많이 잡혔다. 주민들은 서로 좋은 목을 차지하려다 보니 자연히 인심이 거칠어졌다. 그러자 마을 어른들은 게줄당기기 시합을 하여 그 결과로 구역을 할당하기로 했다. 그 후부터 마을사람끼리 반목하는 폐단이 사라졌다. 게의 생산이 줄어들면서 놀이는 한동안 중단되다가 근대 이후에 부활되어 정월 보름과 7월 백중날 등의 농한기에 하게 되었다. 농한기 때 보를 고치는 일이나 농토를 고르는 일 등의 부역을 걸고 이 놀이를 하기도 한다. 이 마을 노인들의 증언을 토대로 놀이의 원형을 재구성하여 1970년경부터 재연한 놀이순서는 앞놀이게줄당기기뒷놀이로 구성된다.
내용
놀이에 쓰이는 게줄은 게의 형상이다. 줄은 질긴 새끼로 꼬는데 몸통부분은 둥그렇고 굵게 감았으며, 그것을 중심으로 양쪽에는 게발 모양처럼 곁줄을 단다. 이 곁줄의 수는 놀이에 참가하는 사람의 수효에 따라 6인용(3줄), 10인용(5줄), 20인용(10줄) 줄 등으로 달라진다. 이외에도 줄 들일 때 쓰이는 작수바리, 춤판에서 쓰이는 나무구시와 지게목발, 터 빼앗기 할 때 사용하는 대발 등이 필요하다. 놀이는 마을 동부의 상감(上甘)과 서부의 하감(下甘)으로 편을 나누어 시합한다. 현재 앞놀이, 게줄다리기, 뒷놀이로 구성되어 연행된다. 앞놀이에서는 게줄다리기의 준비를 하고, 게줄다리기 승부를 한 후, 뒷놀이로 이어져 대동놀이로 끝난다. ①앞놀이 : 당산(堂山)굿을 지내며, 마을의 안녕과 필승을 빈다 →터밟기(오토지신풀이)를 해서 잡귀를 막는다 →밀양덧배기 춤판을 벌여 흥을 돋군다 →앞소리에 따라 ‘젖줄’을 들인다 →마당안에서는 ‘농발이놀이’로 수농부(首農夫)를 뽑는다 →손가락에 태우고, ‘나무구시(여물통)’와 ‘지게목발’ 장단에 흥겨운 춤과 ‘밀양아리랑’노래 등으로 사기를 돋군다 →'터 빼앗기' 싸움은 수농부끼리 ‘작은줄’을 당기기도 하고, 때로는 발[竹簾]로 ‘미지개’를 할 때도 있다. ‘터 빼앗기’ 싸움에서 이기면 게줄을 당길 때 유리한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터밝기(오토지신풀이) 여루여루지신아 지신을 밟아 눌러자 눌러자 눌러자 오토지신을 눌러자 동에 동방에 청제장군 서에 서방에 백제장군 남에 남방에 적제장군 북에 북방에 흑제장군 중앙에라 황제장군 황제장군 모셔놓고 눌러자 눌러자 오토지신을 눌러자 만복을랑 이리로 잡귀잡신은 물알로 밀양아리랑 뒷소리) 아리당닥궁 스리당닥궁 아라리가 났네 아 아리랑 어절시구 잘 넘어 간다 날좀보소 날좀보소 날조곰 보소 동지섣달 꽃보듯이 날좀보소 정든님이 오시는데 인사를 못해 행주치마 입에 물고 입만 빵굿 옥양목 겹저고리 연분홍치마 열두번 죽어도 못 놓겠네 담넘어 갈때는 큰맘을 먹고 문고리 잡고서 발발떤다 물명주 안속곳 널러야 좋고 홍당목 치마는 붉어야 좋다 앵기면 앵기고 말면 말지 고개 만댕이 얹어놓고 만단말가 남의집 서방님은 가마를 타는데 우리집 저문딩이는 콩밭골만 탄다 시어머니 죽고나니 방널러 좋고 보리장아 물고라 놓으니 생각이 난다 어시랑 사라랑 칩거들랑 내품에 안기고 비개주침 낫거들랑 내팔을 비어라 줄 들일 때 부르는 소리 ㉠짚나를 때 …… 받아라 위여차, 다시매야 받아라 ㉡짚꼴 때 ……… 워어이요 워이워이 ㉢들일 때 ……… 어쭈 어야디야 ㉣흥이 무르익을 때 동쪽에 디린 줄은 성력하게 드리주소 정월 보름밥 먹으면 머슴들은 울타리 안고 울고 정월 이월 속속한 마음은 삼월 해동으로 풀어내고 사월 오월 속속한 마음은 유월 모를 꽂고 풀어내고 점지하소 점지하소 온갖 날 짐승 입을 닫고 금년 농사 거다시는 장원급제 비나이다 칠월칠석날 빌어주고 팔월 보름에도 빌어주고 구월구일 온갖 짐승 입을 닫고 시월상달 밝은 날에 기다린 마음 허사로다 동지섣달 닥치며는 다시갈 때 걱정한다 ㉤젓줄 들일 때 정월이라 시오일에 망월하든 소년들아 망월도 좋거니와 부모봉양 잊지마소 신체발목 사대육신 부모님전 타고났다 부모은공 생각하면 태산도 부족이요 황하수도 옆부도다 이줄한번 디린후에 천발만발 뻗어가서 할배아배 어매손자 수명장수 부귀공명 만세유전 하옵소서 만세유전 하옵소서 위여차 위여차 위여차 위여차 ②게줄다리기 : 게줄다리기는 줄도감(줄都監)이 울리는 징소리에 따라 백까지 셀 동안(약 3분동안) 당긴다. 보통 20인용 줄을 사용하는데, 한 판으로 승부가 나지 않으면 세 판 정도 한다. 승부는 중앙선에서 많이 끌어간 쪽이 이기게 된다. ③뒷놀이 : 뒷놀이는 줄다리기에서 진편은 앉고, 이긴 편은 환호하며 마당을 돌다가 진편을 일으켜 대동춤을 춘다.
연계정보
· 관련도서 <미리벌의 얼>, 밀양군, 1983 <密陽아랑제四十年史>, 密陽아랑제執典委員會, 1999 <한국의 민속예술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33년사>, 문화체육부, 1992 <민속놀이론>, 임동권∙정병호∙김선풍, 민속원, 1997 · 관련사이트
용어해설
게줄 : 게 모양으로, 게 몸둥이 부분이 동그랗고 좌우 게발 부분에 다섯개씩의 젓줄이 달려 있다. 줄의 크기는 규모에 따라 달라진다. 규모는 2~20명 여러명이 함께 달릴 수 있다. 작수바리 : 섯가래 셋을 삼발 모양으로 만들어 양쪽에 세우고 그 위에 긴 장대를 걸쳐서 ‘틀’을 만드는데, 줄 들일 때 사용한다. 나무구시(여물통) : 게줄을 만들 때 쓰이는 기구로, ‘춤판’에서 볏단 대신 짚단(줄들일 때 쓰던 짚)을 메고 춤을 출 때 사용한다. 지게 : 구시, 섯가래, 발, 짚 등 기물을 운반할 때 사용하며, ‘춤판’에서는 악기의 구실을 한다. 대발(竹簾) : 터 빼앗기 싸움에 사용한다. 이 발은 ‘게잡이’를 할 때 사용한다. 동기(洞旗) : 동쪽(上甘)은 ‘용’, 서쪽(下甘)은 ‘범’이 그려져 있고, 좌청룡, 우백호를 뜻한다. 농기(農旗) :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 깃발로서 악대의 선두에 선다.
관련사이트
밀양관광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