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서해안 배연신굿 및 대동굿

작품/자료명
서해안 배연신굿 및 대동굿
지정여부
최음전(崔音全, 악사), 김금화(金錦花, 무녀), 안승삼(安承三, 배치기노래/장식)
구분
무속의례
흐름
서해안 배연신굿 및 대동굿은 무당 중심의 풍어제로서 해주, 오진, 연평도를 비롯하여 안면도 일원에 걸쳐 유일하게 남아 전승되고 있는 독특한 유형의 굿이다. 대동굿은 당산(堂山) 굿청의 당굿에서부터 마을 가가호호의 세경굿, 그리고 바닷가의 강변용신굿으로 이어지고 배연신굿은 당굿에서 바다 위의 뱃굿으로 넘어간다. 배연신굿 및 대동굿은 이처럼 산에서 마을, 마을에서 바다로 이어져 마을 전체를 굿 공간으로 삼는 마을의 대풍어제이자 선주들의 대풍어제이다. 이 굿에서는 특히 산과 마을, 바다, 그리고 배로 이어지는 굿 행렬이 무녀들의 화려한 복장과 악사들의 떠나갈 듯한 장단으로 축제의 분위기를 높인다. 여기에 서낭기, 호기(虎旗), 장군기에 서리화, 봉죽, 백모란 등의 화려한 꽃장식, 수많은 선주들의 오색 뱃기 등이 줄을 이어 장관을 이룬다. 이런 가운데 마을전체는 온 어민들이 함께 먹고 마시고 노래하고 춤추는 대축제를 벌인다. 배연신굿은 서해안의 전북 고창군과 전남 영광군 일대와 황해도 옹진군 일대의 지역에서 배와 선원의 안전 및 풍어를 기원하는 무당에 의한 뱃굿으로 ‘신연잔치’, ‘배내리우기’ 고사라고도 한다. 배연신은 따라서 ‘배 내리우기’가 되는데, 이것은 오늘날의 배 진수식(進水式)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배연신굿은 진수식의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신’의 어원이나 구체적인 의미는 잘 알 수 업으나 배연신굿의 한 중심 지역인 전북 고창군 동호리에서는 영신당의 당할머니(시준할머니라고도 함)가 연신굿에서 가장 중요한 신령이고, 그 곳 어민 가운데 연신굿이 원래 영신(靈神)굿이라는 주장을 하고 있다. 옹진 지역에는 배연신굿이 임경업 장군과 관련하여 유래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병사를 거느리고 연평도를 건널 때 장군의 주술(呪術)로 많은 조기를 잡아 병사들이 굶주림을 면할 수 있었고 그 이후 뱃사람들이 임장군을 숭배하여 옹진군내 각 섬에 사당을 짓고 임장군을 섬겼으며 배연신굿이 그로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여하튼 옹진지역의 배연신굿은 임경업 장군을 주수호신(主守護神)으로 받든다. 대동굿은 한편 서해안의 해주, 오진에서 안면도 지역에 이르기까지 지방에 따라 매년 또는 격년으로 지내는 마을굿이다. 현지의 무당이나 주민들은 그저 옛날 조상 때부터 지내 왔다고 할 뿐 그 유래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으나 마을굿의 역사가 한국 고대사회의 제천의식(祭天儀式)에서 유래하여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그 지역에서 나름대로 다듬어져 전승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배연신굿
배연신굿의 일정한 개최시기는 없으며, 선주 부인이 먼저 택일하는 사람을 찾아가 굿하는 날짜를 정한 후 무당에게 알려 주고 굿을 요청하는 식으로 한다. 그러면 굿날 선장의 총지휘 아래 무당 일행과 함께 배위에 마련한 굿청에 제출을 차리고 굿을 한다. 배연신굿의 절차는 1) 신청울림 2) 당산맞이 3) 부정풀이 4) 초부정 초감흥 5) 영정물림 6) 소당제석 7) 먼산장군거리 8) 대감놀이 9) 영산할아밤할맘 10) 쑹거주는 굿 11) 다리발용신굿 12) 강변굿으로 짜여진다. 배연신굿의 신청울림은 신령들을 청하여 부르는 제차로 술잔을 이물 고물에 조금씩 뿌린다. 이 거리를 마치면 다음 순서로 당에 당산맞이를 하러 간다. 사공이 든 장군기, 봉죽, 뱃기등이 앞서고 주무, 선주, 제물짐꾼 등이 행렬을 이룬다. 당에서 임장군님, 당산신령님, 부근님, 서낭님을 청하여 굿을 하고 장군기를 뉘어서 당 안에 들이밀면 주무는 기에 신령이 내리도록 축원한다. 이렇게 기에 신을 맞아 배에 모시고 와서 굿을 계속한다. 부정풀이가 있고 난 뒤에는 계속해서 초감흥에 들어간다. 초감흥은 신령을 모셔 좌정시키는 거리이다. 이어 바가지를 들고 영정을 불러 축원하다가 춤추고는 바가지를 배 밖으로 던져 띄워버림으로써 영정물림이 끝난다. 소당제석에서는 무당이 굿하기 전에 사공이 무복을 입고 춤추고 선주도 또 그렇게 한다. 무당은 춤추다가 물동이에 올라가 예언해 주고 물동이에 조기를 넣어 풍어를 점친다. 소당제석이 끝나야 모두들 생선이, 고기 등 비린 것을 먹을 수 있었다고 한다. 먼산장군거리에서 무당은 장군칼을 들고 장군금춤과 칼춤을 추다가 장군놀이를 한다. 대감놀이로 넘어오면 종이로 만든 대감기를 들고 축원하고 뱃동사들에게 술 한잔씩 돌린다. 영산할아밤, 할맘에서는 무당이 할맘탈과 할아밤탈을 머리에 붙이고 서로 찾다가 만나는 등 연극적 요소를 보인다. 쑹거주는 굿에서는 선원과 선주가 옷자락을 벌려 복(福)떡을 받아간다. 다리발용신굿은 여러 잡신들이 다리발 위의 음식을 먹으려고 서로 다투는 장면을 연출하는 것이다. 강변굿은 마지막 종결과장으로 수숫대로 만든 띄배에 제물과 허수아비 모양의 ‘산영산’을 실어 바다로 띄워 보낸다. 뱃동사 가족 중 물에서 죽은 사람이 있는 집을 위해 무당은 갯가에서 그 혼령을 위로하고 기원해준다.
대동굿
대동굿은 정기적인 마을굿이어서 굿하는 날과 장소가 대개 고정되어 있다. 음력 정월 초사흗날 마을유지와 선주들이 상의하여 제관과 제의추진 위원인 소염들을 선정하고 당집 옆에 굿당을 꾸미고는 정월대보름 안에 3~5일간 축제를 벌인다. 배연신굿에 비해 대동굿은 규모가 크기 때문에 구성이 훨씬 복잡하고 다양한데 1) 신청울림 2) 상산맞이 3) 세경굿 4) 부정굿 5) 감흥굿 6) 초영정물림 7) 북잔내림 8) 제석굿 9) 성주굿 10) 소대감놀이 11) 말명굿 12) 사냥굿 13) 성수거리 14) 타살굿 15) 군웅굿 16) 먼산장군거리 17) 대감놀이굿 18) 뱃기내림 19) 조상굿 20) 서낭목신굿 21) 영산할아밤할맘 22) 뱅인여감굿 23) 벌대동굿 24) 강변용신굿 등으로 짜여진다. 대동굿은 당일 자시 제관의 고축(告祝)에 이어 경관만신이 당에 간단히 인사를 드리고 도가집에 내려와 신청울림을 하면서부터 굿이 시작된다. 배연신굿에 없는 제차만 약술하면 세경굿은 당산을 맞아 마을의 가가호호를 돌며 각 가정의 평안과 재복을 축원해주는 것이고 복잔내림에서는 제관에게 술잔을 내리고, 제석굿에서는 제석님을 맞아 명과 복과 재수를 기원하는 것이다. 말명굿은 각 말명을 방아를 찧으러 오도록 청하고 명과 복을 비는 거리이다. 사냥굿은 제숙 얼르는 굿이라고도 하듯이 제물로 쓰일 소와 돼지를 잡기 전에 얼르는 굿이며, 성수거리에서는 여러 신장님, 장군님 등이 대접을 받고는 제관, 소염과 마을을 축원해준다. 타살굿은 제물인 소와 돼지를 잡아 팔각을 뜨는 절차이고, 먼산 장군거리에서는 각 지역 모든 장군들을 불러 용맹과 위용을 칭송한다. 백기내림은 춤과 재담과 연희로 진행되고, 조상굿에서는 조상의 극락왕생을 기원한다. 벌대동굿은 잡귀잡신을 풀어먹이는 굿이고, 강변용신굿에서 사공의 안전과 풍어를 기원하고 바다에서 죽은 고혼을 위로해준다. 배연신굿과 대동굿 모두 화려하고 규모가 큰 축제성 굿이므로 소용되는 소도구 역시 무척 많다. 배연신굿에서는 장군기, 호서낭기, 물기, 소당기, 장애발, 만장기 등의 깃발과 봉죽, 서리화 등의 지화(紙花)가 배를 호화롭게 장식한다. 대동굿에서도 마찬가지 종류의 기가 동원되고 지화류로는 봉죽, 서리화 외에 백모란, 삼신꽃, 고깔꽃, 쟁비꽃, 전발 등을 만들어 쓴다.
전승자 정보
서해안 배연신굿 및 대동굿은 1985년에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당시에 악사의 최음전, 무녀의 김금화가 보유자 인정을 받았고 1987년에 배치기노래 및 장식으로 안승삼이 추가되었다. 이 가운데 김금화는 국내 외에 가장 많이 알려진 무녀이다. 황해 연백 출생으로 17세 되던 해에 외할머니 김천일을 통해 허침굿(허두굿), 내림굿, 솟을굿을 받고 무당되었다. 김금화의 외할머니 김천일은 당시 권만신, 방수덕(해주 조천멀 만신), 유만신(옹진군 해남면 버르대 만신) 등과 함께 황해 지방을 휘젓고 다니던 여무였다.
연계정보
· 재구성 <한국의 전통예술>, 심우성 외, 한국문화재보호재단, 1997
관련도서
<한국의 전통예술>, 심우성 외, 한국문화재보호재단, 1997 <옹진 배연신굿>, 황루시, 김수남 사진, 열화당, 1986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사이트
서해안 풍어제 보존회
관련사이트
인터넷과 무당_갤러리
관련멀티미디어(전체0건)
이미지 0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