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북청사자놀음

작품/자료명
북청사자놀음
지정여부
동성영(董誠暎, 사자앞채), 이근화선(李根花善, 사당춤), 여재성(呂在成, 사자뒷채)
구분
탈춤
흐름
북청사자놀음은 함경남도 북청군 전지역에서 연행되었으나 그 가운데 북청읍의 사자계, 가회면의 학계(學契), 구양천면(舊楊川面)의 영양계(英陽契)의 사자놀음이 유명하였고 도청(都廳)을 중심으로 해마다 음력 정월 대보름에 놀아졌다고 한다. 마을마다 각기 사자를 꾸며서 놀았고 각 처에서 읍내로 사자가 모여들어 자연히 경연이 붙었고 1930년경부터 경연을 시키고 우수한 팀을 선정하기에 이르러 여타의 작은 사자팀들은 사라지게 되었다고 한다. 사자놀음은 주목적이 벽사진경(壁邪進慶)에 있으며 백수의 왕으로 잡귀를 쫓을만한 힘을 가졌다고 믿어졌고 사자로서 잡귀를 쫓고 동리의 무사태평을 비는 것이며 가가호호를 돌면서 벽사하고 복을 빌어 주며 그 대상(代償)으로 받은 전곡은 동리의 공공사업 즉 장학금, 빈민구제, 경로회 비용 및 사자놀음 비용에 충당하였다.
연희시기 및 장소
사자놀음은 음력 정월 14일밤 달이 뜬 뒤부터 시작하는데 이보다 앞서 여러 마을에서 장정들이 편싸움으로 횃불싸움이 있어 왔다. 14일밤 시작한 사자놀음은 15일 새벽까지 놀고 서당, 도청 광장에서 주식을 갖추어 놓고 논 뒤 해산하는데 16일 이후는 초청하는 유지의 집을 돌며 논다. 퉁소, 장고, 소고, 북, 꽹과리 반주에 사자와 사령, 꺽쇠, 양반, 무동, 승무, 꼽새춤과 기타 잡패들이 집집마다 돌아다니는데, 먼저 목표하여 둔 집의 마당으로 들어가서 한참 춤을 추면 사자가 맹렬한 주세(走勢)로 내정을 거쳐 안방문을 열고 큰 입을 벌리고 무엇을 잡아먹는 형용을 하고 다음에 부엌에 들어가서 전과 같이 한 후에 다시 안뜰에 나와서 활발한 춤을 춘 후에 사자는 전원보다 먼저 퇴거한다. 이 때 아이를 사자에게 태워주면 수명이 길다고 하여 태우기도 하고 사자털을 몰래 베어다 두면 수명 장수한다는 속신이 있었고 수명장수를 빌어 5색 포편을 사자몸에 매어 주기도 하였다.
구성형식 및 내용
제1과장 마당놀이 양반과 하인 꼭쇠가 등장한다. 꼭쇠는 양반의 허리끈을 잡고 이끌어 들이고 장내를 돌면 그들을 따라 악사들이 따라 돈다. 양반은 부채를 흔들며 거드름을 핀다. 이윽고 북청고을이 풍치도 좋고 달도 밝으니 한번 흥겹게 놀아보자고 꼭쇠에게 명하여 악사를 불러들이고 이어 애원성춤을 춘다. 경우에 따라서는 마당돌이에 앞서 애원성춤부터 놀기도 하며 다음으로 사당, 거사춤, 무동춤, 넋두리춤, 꼽추춤, 칼춤 등을 놀게 한 다음 사자춤이 들어온다. 제2과장 사자놀이 양반이 사자를 불러들이란 말에 꼭쇠가 사자를 끌고 들어온다. 사자가 힘차게 한참 추다가 사자가 허기진 것 같다고 토끼를 먹인다. 그러자 사자 한 마리가 토끼를 먹고 체하여 쓰러진다. 대사를 불러 반야심경을 부르나 소용 없어 의원을 불러 침을 놓고 약을 먹여 회복시킨다. 다시 사자 두 마리가 승무와 어울려 여러 가지 춤을 추고 일어서기도 한다. 이것은 뒷사람이 앞 사람의 어깨 위에 올라 무동을 타는 것이다. 초청 받은 집에 들어가서 사자가 놀고 전곡을 받는 시늉도 한다. 사자 두 마리의 춤과 사당춤, 상좌의 승무가 어울려 한참 추다가 전원이 퇴장한다. 사자가 퇴장한 다음 악사들과 마을 사람들이 원형을 그리며 ‘신거산타령’ 등 함경도 민요를 부르면서 군무로 끝내기도 한다.
가면과 의상 및 소도구
사자가면 2개 - 피나무에 목수가 사자 얼굴 형태를 조각한다. 지금은 종이탈을 만든다. 얼굴 윤곽은 둥글고 붉은색을 채색한다. 수염과 눈은 흰색으로 그리고 눈동자는 검은색 바탕에 흰 점을 칠하였다. 두 귀는 검은색을 칠하였다. 머리털과 갈기와 몸체는 청(녹색), 적, 백, 흑, 황색의 오방색으로 하였다. 사자 안에 들어가는 연희자는 오색실이 달린 바지와 무릎받이에 신을 신고 사자 머리와 몸체에 두 사람이 들어간다. 양반 - 분홍색 얼굴 바탕에 검은색으로 눈썹을 그리고 수염을 달았다. 눈과 입은 뚫렸고 종이로 만든 정자관을 쓰고 회색 도포를 입고 부채와 장죽을 든다. 예전에는 바가지탈이었으나 지금은 종이탈이다. 꼭쇠 - 분홍색 종이탈에 수염과 눈썹을 검게 그리고 눈과 입은 뚫렸다. 검은 벙거지를 쓰고 앞의 오른쪽과 등의 왼쪽이 붉은 큰 저고리를 입고 어깨에 붉은 헝겊을 둘렀다. 꼽추 - 바가지탈로 분홍색 바탕에 눈썹은 검은 칠을 하고 붉은 입술에 눈과 입은 뚫렸다. 보통 여자의 복색에 고깔을 쓴다.
전승자 정보
1960년 8월에 6·25 당시 월남한 북청군 사람들이 북청사자놀음보존회를 발족하여 복원에 힘썼다. 무형문화재 지정 당시에는 윤영춘(尹迎春, 사자 앞채역), 김수석(金壽石, 사자 앞채역), 변영호(邊永鎬, 악사/퉁소), 동성영(董誠英, 사자 앞채역), 여재성(呂在成, 사자 뒷채역), 전중식(全仲植, 악사/퉁소), 전광석(田光石, 칼춤), 이근화선(李根花善, 사당춤) 등이 예능보유자로 인정되었으며, 북청사자놀음의 활발한 공연과 전수활동이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다른 탈춤들과는 달리 북청사자놀음은 고장 자제들에게 자진하여 전수시키고 있는 점이 특색이라 할 수 있다.
연계정보
· 재구성 <한국의 전통예술>, 심우성 외, 한국문화재보호재단, 1997
관련도서
<한국의 전통예술>, 심우성 외, 한국문화재보호재단, 1997 <북청사자놀음>, 전경욱 저, 정수미 사진, 화산문화, 2001 <북청사자놀음 전수교본>, 전경욱, 북청사자놀음보존회, 1996
관련사이트
문화재청
관련사이트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_주요공연_탈춤공연
관련사이트
디지털한국학_한국의 탈
관련멀티미디어(전체5건)
이미지 5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