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이 거리 저 거리

작품명
이 거리 저 거리
작곡가
미상
개요
이 노래는 충청도 및 중부지방 일대에 전하는 동요이다. 다리빼기를 하며 부르는 노래는 전국적으로 퍼져있는데 본래는 술래를 정하기 위해 부른 노래다. 가사는 의미가 없는 낱말들을 나열한 것이다.
해설
다리 헤는 놀이 동요이다. 다리를 쭉 뻗어 서로 맞물리게 하여 마주 앉는다. 노래에 맞추어 매 박에 다리 하나씩을 차례대로 짚어 나간다. 즉, ‘이 거리’에 한 다리를 짚고 ‘저 거리’에 또 한 다리를 짚는다. 이렇게 해서 노래가 끝에 짚인 다리는 오므려서 빼낸다. 나중까지 펴있는 다리의 주인이 지게 된다. 참고: <전래놀이 요를 활용한 초등학교 1학년 전래동요 지도자료 개발>, 남궁수자, 건양대 석사논문, 2003 이 동요의 노랫말은 특별한 내용을 노래하기보다는 놀이를 위해 발음상 재미있게 부를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특히 이와 같이 사물의 특징과 낱말을 조화시켜 가사를 만드는 것은 우리의 전래동요에 많이 나타나는 형태로 규칙적인 개념 학습을 통해 언어 표현력을 확대하고 정확한 발음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음악적으로도 음절과 장단의 단위를 일치시켜 부름으로 해서 장단을 익히게 하는 놀이 학습이 될 수 있다. 지방에 따라 <한알대 두알대>, <한갈래 두갈래>, <한거리 징거리>, <한다리 두다리> 등으로 불린다.
노래 부르는 방법
구성음은 '미, 솔, 라, 도, 레'이며, 중심음은 '미, 라, 도'이고, '라'로 마치는 동부민요조(메나리토리)이다. '미'는 떨어준다. 3분박 4박자로 중중모리나 느린 자진모리 장단에 맞추되 빠르기는 놀이의 동작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관련음반
<전래동요를 찾아서>, 우리교육, 2000 <전래동요>, 서울음반, 2000 <전래동요>, 뮤직밸리코리아, 2002 <신나고 즐거운 전래동요- 꼭꼭 숨어라 머리카락 보인다>, 국립국악원, 2001
관련도서
<전래동요를 찾아서>, 어효선, 교학사, 1981 <한국전래동요집>, 신경림, 창작과비평사. 1984 <전래동요를 찾아서>, 홍양자, 우리교육, 2000 <국악교육안내서 3 전래동요>, 엄성은 외, 국립국악원, 2002
관련사이트
한국민요대전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관련사이트
정창관의 국악음반세계
관련사이트
국립국악원
관련멀티미디어(전체1건)
이미지 1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