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기와 밟기

작품명
기와 밟기
작곡가
미상
개요
기와밟기는 강강술래에 삽입된 노래이자 놀이다. 전라도 지역뿐 아니라 경상도 지역에서도 행해지는데, 경북 안동에서는 <놋다리밟기>, 경북 의성에서는 <기와밟기>, 울산을 비롯한 경남 지역에서는 <재밟기>라고 불린다. 초등학교 1학년 2학기 즐거운 생활에 수록되어 있다.
해설
기와밟기 놀이에서는 기와를 밟는 놀이꾼과 그 양편에서 손을 잡아 기와밟기를 돕는 놀이꾼, 일렬로 대열을 지어 기와 모양으로 허리를 굽히는 놀이꾼으로 각기 역할을 나눈다. 이 놀이에서 허리를 굽혀 앞 놀이꾼을 끌어안고 있는 모습을 ‘기와’라고 하며, 기와 모양을 한 놀이꾼들의 등을 서서 걸어가는 것을 ‘밟는다’고 한다. 놀이가 시작되면 기와를 밟고 가는 놀이꾼은 “어디가 기완가”하고 메기는 소리를 하며 기와에 오른다. 기와를 만든 나머지 아이들은 “장자골 기와지”하고 소리를 받는다. 메기는 소리, 받는 소리를 주고 받으며 맨 앞의 기와까지 다 밟고 나면 기와 밟는 놀이꾼도 기와에서 내려와 허리를 굽혀 맨 앞의 기와였던 사람의 앞에서 기와 모습을 만든다. 기와를 밟는 사람 양옆에서 도왔던 두 사람도 역시 그 앞에서 기와를 만든다. 이렇게 첫 번째 기와밟기가 끝나면 맨 마지막 기와였던 사람이 다시 기와밟는 놀이꾼이 된다.
노래 부르는 방법
어디골 기완가 전라도 기와지 몇 닷냥 주었나 석 닷냥 주었지 어디골 기완가 경상도 기와지 몇 닷냥 주었나 열 닷냥 주었지 어디골 기완가 장자골 기와지 몇 닷냥 주었나 스물 닷냥 주었지
관련음반
<할머니가 들려주는 아름다운 우리나라 옛동요>, 가람미디어, 2002 <한국민요대전 충청북도편 3>, MBC, 1996 <신나고 즐거운 전래동요- 문지기 문지기 문 열어라> , 국립국악원, 2001
관련도서
<국악교육안내서 3 전래동요>, 엄성은외, 국립국악원, 2002
관련사이트
국민요대전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관련사이트
부산시 홈페이지
관련사이트
정창관의 국악음반세계
관련사이트
국립국악원
관련멀티미디어(전체3건)
이미지 3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
  • 관련멀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