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개요

자세히보기

한국창작오페라의 전문화시기

1993년 예술의전당에 오페라 전문극장이 개관되면서 오페라계는 한 단계 더욱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다. 명동의 시공관 건물이나 세종로 시민회관, 장충동 국립극장, 그리고 세종문화회관은 모두가 다목적극장이어서 종합예술인 오페라를 공연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그런데 예술의전당 오페라하우스의 개관으로 현대화된 무대장치 등을 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더욱 수준높은 공연의 제작이 가능하게 되었다. 예술의전당 오페라하우스의 개관공연으로는 국립오페라단이 제작한 홍연택의 <시집가는 날>이 무대에 올려졌다. 이 작품은 1986년 아시안게임 문화축전에서 초연되었던 것인데, 그것을 다시 개작해서 무대에 올린 것이다. 지휘는 나영수, 연출은 오현명이 맡아 공연하였다. 그밖에도 개관공연으로 오페라 상설무대가 제작한 베르디의 <포스카리가의 두 사람>이 한국 초연으로 공연되었으며, 김자경오페라단이 제작한 비제의 <카르멘> 공연이 이어졌다. 예술의전당은 오페라 전문극장을 운영하는 것 이외에 정례적으로 ‘오페라 페스티벌’을 개최함으로써 체계적으로 오페라계의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특히 1995년 10월에는 ‘한국창작오페라축제’를 개최하여 창작오페라 공연의 신장에 기여하였다. 창작오페라축제에는 총 3개의 민간오페라단이 참여했는데, 국제오페라단에서 제작한 현제명의 <춘향전>과 오페라 상설무대에서 제작한 김동진의 <심청>, 글로리아오페라단에서 제작한 장일남의 <원효대사>가 무대에 올려졌다. 또한 2003년도에는 대구에도 오페라 전문극장이 설립되었다. 대구 오페라하우스는 개관공연 이후로 수준높은 오페라 공연을 유치함과 동시에 국제오페라축제를 개최함으로써 지방의 오페라 문화를 선도하고 있다. 오페라 전문극장의 개관과 더불어 오페라 전문인력들이 활동하기 시작한 것도 이 시기의 특징이 된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연출의 측면에서 두드러지는데, 과거에는 주로 연극 연출가나 성악가들이 오페라 연출을 담당했으나, 이 시기에 오페라 연출을 전문적으로 공부한 인력들이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오페라계는 더욱 활기를 더하고 있다. 그밖에도 오페라 전문지휘자, 오페라 전문오케스트라, 오페라 전문합창단들도 비록 소수이지만 점차 활동 반경을 넓혀가고 있다. 앞으로 오페라 전문대본가, 오페라 전문무대장치가를 비롯한 오페라 전문인력들이 더욱 많이 유입된다면 한국오페라계는 비약적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