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문화 관련 예술지식백과를 공유합니다

개요

자세히보기

민속악

민속악은 크게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하나는 음악의 발생장소와 수용층이 궁중이 아닌 민간의 음악을 일컫는 말로 이것은 궁중음악에 대치되는 개념이고 넓은 의미의 민속악으로 민간음악이라고도 한다. 다른 하나는 민요가 주류를 이루는 자연발생적인 대중음악을 일컫는 말로 좁은 의미의 민속악으로 서양의 포크송에 해당한다. 민속악은 원래 토속적이고 자생적인 습속의 음악에 한정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 민속악이란 말이 쓰인 것은 20세기 이후이고 옛날에는 향악(鄕樂)과 같은 개념으로 속악(俗樂)이란 말이 쓰였다. 해방 후에 민속악이란 말은 첫째 상류계층의 음악인 정악(正樂)에 대비되는 개념, 둘째 예술음악의 반대개념, 셋째 궁중음악에 대비되는 세속음악(世俗音樂)이라는 뜻으로도 쓰였다. 이와 같이 정의된 민속악은 한 나라의 음악문화에서 가장 근원적이고 바탕이 되는 요소이다. 우리나라의 민속악은 토속민요가 그 주류를 이루어서 일할 때 부르는 노래와 여흥을 위한 노래의 두 가지 성격을 띠고 있다. 따라서 민속악은 그 지방의 무속음악(巫俗音樂)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어서 어느 지방이나 무속음악의 특징과 민속악의 특징은 많은 공통점을 갖고 있게 마련이다. 그러나 민속악은 무속음악과 관련없이 용도와 기능, 시대적 배경, 수용층의 특성 따위에 의해서 이루어지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민속악 가운데서 가장 큰 몫을 차지하는 것은 농사에 수반되는 각 지방의 농사짓기 소리이다. 그리고 해안 지방의 뱃노래를 비롯한 고기잡이노래나 각 지방의 장례지내는 소리도 중요한 부분이다. 이외에 집터다지는 소리, 짐 나르는 소리, 부녀들의 길쌈소리, 어린이들의 토속적인 동요, 대장간의 소리 따위가 삶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