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 문화지식 예술지식백과

예술용어사전

문화 관련 예술용어사전을 공유합니다.

대성악

장르
무용 /무용사 /한국무용사
요약설명
고려 예종때 송나라에서 들여온 중국의 정악. 대성악기는 등가 악기와 헌가악기로 구분되며 국가제사인 원구, 사직, 태묘등에 쓰임.
상세설명
고려 중기의 예종 9년(1114), 송나라에 사신으로 간 안직숭에 의해 송의 휘종이 신악기와 곡보를 보냈다. 1116년 예종은 이에 대한 하례 사조 왕자지와 문공미를 보냈고 송의 휘종은 다시 이들을 통해 대성악을 보냈다. 대성악기는 등가/음악(登歌)와 헌가/음악(軒架)로 구분되며 등가악기로는 편종/음악, 편경/음악, 슬/음악, 지/음악, 적/음악. 소/음악. 소생/음악. 화생/음악. 훈/음악. 박부/음악. 축/음악. 어/음악가 있으며 헌가악기에는 편종.편경. 금/음악. 슬. 지. 적 .소. 소생. 우생/음악. 훈. 진고/음악. 입고/음악. 비고/음악. 음고/음악. 축. 어 등이 있다. 이러한 악기들과 함꼐 문무/무용(文舞)와 무무/무용(武舞)가 들어왔다. 대성악은 태묘를 비롯하여 원구. 사직과 중간제사인 선농(先農). 선잠(先蠶). 문선왕묘(文宣王廟)등 궁중의 제례에서 연주되었다. 명종이후 점차 침체되고 악기편성과 음악.춤의 제도가 혼란스러워지고 불안전하게 되어 제례절차의 아헌.종헌.송신에 향악을 연주하였다. 한 때 승지 서온(徐溫)이 송나라에서 춤과 연주법을 익히고 돌아와서 가르치는 등 바로잡으려 노력했었으나 공민황 때는 더욱 문란해졌으며 성회득이 명나라에서 아악기를 가지고 오면서 고려말에는 거의 명맥을 유지할 뿐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