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메인

3D프린팅콘텐츠

톱(3001140) 크게보기 3D 뷰어
톱(3001140)
국적/시대
한국/광복이후
재질
금속
용도
갱내 작업용
소장처
태백석탄박물관
3D프린팅 가이드
추천재질 1 : 파우더(SLS/DMLS)
추천재질 2 : 플라스틱(FDM/FFF)
원천유물설명
톱은 석기시대(石器時代)부터 알려져 있었다. 나무나 뼈를 자르기 위해 사용한 플린트(부싯돌)제의 톱은 청동기(靑銅器)시대에도 널리 목재가공용으로 사용되었다. 이집트의 청동제 톱은 이미 근대와 유사한 외형을 갖고 있으며, 제12왕조 무렵에는 권총형 손잡이를 가진 것이 등장하였고, 크레타의 중기 미노스 제3기에는 약 150㎝의 청동제의 큰 톱이 제작되었다. 로마의 건축용 석재(石材)를 절단하는 데에 수동(手動)의 철제 톱이 사용되었으며, 4세기 말에는 수차(水車)에 의한 동력톱도 일부에서는 시도되었다. 중세가 되자 2개의 손잡이가 달린 톱, 통나무를 세로로 켜는 큰톱이 목재용으로 사용되었다. 원형톱은 1777년에 영국에서 특허를 얻었고, 후에 조선용(造船用)으로 많이 사용되었으며, 1808년에 증기기관으로 운전되기도 하였다. 띠톱은 1808년에 영국에서 특허를 얻었으나, 오랜 사용에 견딜 수 있는 강철(鋼鐵) 띠가 나온 다음 1849년 무렵에야 실용화되었다. 가공하는 재질, 가공법, 가공부분에 따라 많은 종류로 나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목재가공용이 많다. 최근에는 작업 능률을 올리기 위해 원형 또는 직선상의 톱을 전동기에 의해 움직여 재료를 가공하는 전동용구도 나오고 있다. 이 톱은 태백의 석탄광산에서 갱내 작업용으로 실제로 사용하였던 것이다.
활용설명
갱내에서 사용했던 톱을 교육용자료로 활용하였다. 톱은 석기시대부터 발달한 긴 역사를 가진 연장이며 현재에도 산업 현장이나 일상생활에서 널리 쓰이는 도구 중 하나이다. 톱의 모양에 따른 다양한 용도를 교육용자료로 활용함으로써 톱의 역사와 종류를 친근하게 배울 수 있을 것이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