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메인

3D프린팅콘텐츠

김제출토 동판불범중 반가상(3000727) 크게보기 3D 뷰어
김제출토 동판불범중 반가상(3000727)
국적/시대
한국/백제(7세기)
재질
금속
용도
종교, 신앙, 불교
소장처
국립전주박물관
3D프린팅 가이드
추천재질 1 : 파우더(SLS/DMLS)
추천재질 2 : 플라스틱(FDM/FFF)
원천유물설명
1980년 3월 7일 전북 김제시 성덕면 대목리 탄상 마을에 거주하는 주민이 집 근처 자신의 밭에 비닐하우스를 설치하던 중 불상이 새겨진 작은 동판 4개를 발견했다. 이 소식은 순식간에 세간의 화제가 됐다. 당시까지만 하더라도 백제의 수도였던 부여, 익산 등지에서만 확인되던 백제의 불상이 역사에 기록되지 않은 곳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발견된 4점의 크기나 조각은 제각각이다. 그 가운데 가장 큰 동판(7.3×7.8㎝)에는 화려한 장막 아래 부처와 꽃을 든 두 구의 보살을 새겼다. 두 번째로 큰 것(6.8×6.8㎝)에는 반가사유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한 나한상을 조각했다. 세 번째로 큰 것(8.8×5.0㎝)에는 감실 안 나한상을 상하 7구씩 총 14구를 조각했으며, 가장 작은 것(3.5×6.1㎝)에는 감실 안에서 선정하고 있는 부처를 새겼다. 이 조각상들은 서산 마애삼존불, 경주 남산 삼화령 미륵삼존불 등 삼국시대 7세기 중엽 불상과 유사한 면모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대체로 650년 무렵에 백제에서 만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의식이나 예배의 대상으로는 작은 이 판불을 어떻게 사용됐을까. 한 편에서는 큰 판에 부착하여 벽면을 장식됐을 것으로 여겨졌고, 또 다른 편에서는 가장 큰 판불에 달려있는 네 개의 다리와 판불 가장자리가 움푹 들어가 있는 점을 근거로 얇은 판을 두드려 만드는 압출불(壓出佛)을 만들 때 썼던 틀로 보기도 했다. 그런데 최근 표면에 대한 성분 분석 결과 금(Au) 성분이 나와 압출불의 틀이 아닐 것이라는 의견이 제기됐다. 그러나 사찰에서 개금불사가 발견되는 데다 도금은 후대에도 할 수 있기 때문에 압출불의 틀이 아니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이 판불이 발견될 당시까지만 하더라도 백제의 불상은 부여, 공주, 익산 등 중요한 도시와 백제에서 중국으로 가는 중요한 교통로 예산, 서산, 태안 등에만 발견됐다. 이 판불이 출토된 김제시 성덕면 대목리가 백제에서 중요했던 곳이라는 짐작이 가능한 대목이다. 판불이 발견된 2년 뒤 정읍시 소성면 보화리에서도 백제 석불 2구가 발견됐는데, 백제의 중방성으로 여겨지는 고부와 매우 가까운 곳이다. 김제 대목리 출토 판불과 정읍 보화리 석불입상은 백제가 중국으로 가는 교통로뿐만 아니라 중요한 남방 교통로를 뜻한다 하겠다.
활용설명
김제에서 출토된 동판 불범 중 반가상을 그대로 재현해 관광, 전시상품으로 제작하였다. 판불에 보이는 반가상의 모습에 집중하였으며 본래의 형태를 참고하여 상호나 법의, 수인의 표현에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였다. 불교의 예배 대상으로 상징성과 신성함의 의미를 그대로 보여준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