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메인

3D프린팅콘텐츠

분청사기접시(3000394) 크게보기 3D 뷰어
분청사기접시(3000394)
국적/시대
한국/려말선초
재질
도자기/분청
용도
식기
소장처
해군사관학교박물관
3D프린팅 가이드
추천재질 1 : 파우더(SLS/DMLS)
추천재질 2 : 플라스틱(FDM/FFF)
원천유물설명
분청사기는 회색 또는 회흑색 태토 위에 백토 진흙을 분장한 다음 유약을 입혀서 구워낸 자기를 일컫는다. 분청사기가 번조된 시기는 대략 14세기 말에서 17세기 초에 해당되며 조선전기 도자기의 주류를 이루었으나 임진왜란 이후에는 우리 도공들의 납치와 요지의 파괴로 분청사기는 자취를 감추었다. 분청사기 가마터는 한강이북지역에는 드물었지만 한강이남 지역에는 널리 분포되어 있었다. 분청사기의 종류는 그 제작수법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되지만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회색 또는 회흑색의 그릇 표면에 백토만으로 분장한 것, 둘째 백토로 분장하고 그 위에 문양으로 장식한 것이 있다. 귀얄, 인화, 박지, 조화, 철화 등의 기법을 사용해서 문양을 나타냈다. 이 분청사기접시는 경남 고성에서 출토되었으며 갈색의 태토에 회청색의 유약을 입혀서 구워냈다. 그릇내부의 바닥면에 6개의 모래받침흔적이 있으며, 그릇내부 표면에 1줄의 음각선이 둘러져 있다. 그릇 외부의 표면은 제작과정에서 생긴 기포가 보이며 굽의 안쪽 면에는 작은 균열이 남아 있다.
활용설명
분청사기 접시의 형태를 그대로 활용하여 주방용품으로 개발하였다. 접시는 요즘에도 사용하는 용기로 우리나라 식기의 전통을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장식용품, 생활소품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공공누리 제 1유형 마크 - 출처 표시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 본 저작물은 "문화포털" 에서 서비스 되는 전통문양을 활용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