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영상
문화포털의 크리에이터 문화PD의 영상을 소개합니다   제목: [LA/해외문화PD] 허밍버드를 찾아서
  
   
  
   All art is but
    immiatation of nature.
  
   모든 예술은 자연의 모방이다.
  
   Finding Hummingbirds
  
   허밍버드를 찾아서
  
   
  
   현장음. 와, 허밍버드입니다.
  
   
  
   자막.    Wow, look it’s a hummingbird!
  
   
  
   내레이션.
  
   
  
   몸길이 5cm, 체중 1.8g 세상에서 가장
    작은 새 허밍버드입니다.
  
   주로 적도 부근과 중남미 지역에서 서식하는 허밍버드는
  
   2월 중순부터 9월 초까지 캘리포니아
    지역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데요,
  
   허밍버드라는 이름은 바로 빠른 날갯짓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1초에 약 53번의 날갯짓을 할 때 나는
    소리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네요.
  
   한국에서는 꽃 속에 꿀을 찾아다니는 모습이
    꼭 벌과 같다고 해서 벌새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빠른 날갯짓과 유연한 어깨 관절 덕분에
  
   허밍버드는 공중에서 후진 비행은 물론
    호버링이 가능한 유일한 새가 되었는데요.
  
   저는 오늘 그 모습을 슬로우모션으로 담기
    위해 샌디에고로 향했습니다.
  
   
  
   자막.
  
   
  
   Its body length is 5cm,
    and its weight is 1.8g. 
  
   The hummingbird is the
    smallest bird in the world.
  
   Hummingbirds mainly live
    in the vicinity of the equator     and in Central and South America.
  
   You can easily see them
    in California from mid-February     to early September,
  
   The Hummingbird receives
    its name because of its fast wings.
  
   The humming soundis made as it     flaps its wings 53 times per second.
  
   In Korea, it is called
    ‘beol-sae’ (hummingbird) because     it looks like a bee (beol)
    looking for honey in a flower.
  
   Thanks to these fast
    wings and flexible shoulder     joints, hummingbirds are the only
    bird in the world that can hover,     as well as fly backwards in
    the air.
  
   I went to San Diego
    today to capture them in slow motion.
  
   
  
   내레이션.
  
   
  
   이곳은 로스앤젤레스에서 남쪽으로 약
    20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샌디에고의 한 동물원입니다.
  
   바로 이곳에 허밍버드가 살고 있는 큰 새장이
    있다고 해서 찾아왔는데요.
  
   지금부터 그곳을 찾아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막.
  
   
  
   Approximately 200km
    south from Los Angeles, the San     Diego Zoo is located in San
    Diego, California.
  
   We heard that this zoo
    has a big hummingbird aviary. 
  
   Let’s go look right now.
  
   
  
   내레이션.
  
   
  
   이곳이 바로 허밍버드가 살고 있는 곳입니다.
  
   지난 2개월간 야생의 허밍버드를 찾아다니며
    슬로우모션 영상을 담아보려 했지만, 모두 다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는데요.
  
   오늘 바로 이곳에서 다시 한 번 시도해보기로 했습니다.
  
   과연 이번에는 성공할 수 있을지,
  
   허밍버드를 담기 위한 이야기가 지금부터 시작됩니다.
  
   
  
   자막.
  
   
  
   This is where
    hummingbirds live.
  
   For the last two months,
    I tried to find wild     hummingbirds to film them in slow motion,
    but all attempts were unsuccessful.
  
   So today, I decided to
    try once again. 
  
   Hoping for a better
    outcome, the story of hummingbirds     starts now.
  
   
  
   내레이션.
  
   
  
   이곳에는 허밍버드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새들이 함께 살고 있었는데요.
  
   푸른목휘파람새, 파라다이스풍금조,
    보라꿀먹이새, 여름풍금조까지 다양한 종류의 새들이 함께 살아가고 있었습니다.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허밍버드를 찾아보도록 할까요?
  
   
  
   자막.
  
   
  
   At the Kenton C. Link
    Hummingbird Aviary, 
  
   you can find
    hummingbirds as well many other types of birds,
  
   such as Blue-necked
    Tanager, Paradise Tanager, Purple     Honeycreeper, and Summer
    Tanager. 
  
   Shall we get going on
    finding our beloved hummingbirds?
  
   
  
   Blue-necked Tanager 푸른목휘파람새
  
   Paradise Tanager 파라다이스풍금조
  
   Purple Honeycreeper 보라꿀먹이새
  
   Summer Tanager 여름풍금조
  
   
  
   내레이션.
  
   
  
   제일 처음 만나게 된 허밍버드는 코스타벌새입니다.
  
   보는 각도에 따라 목 주변의 깃털이
    보라색으로 보이는 것이 특징인데요,
  
   이것은 수컷과 암컷을 구별하는 특징이기도 합니다.
  
   수컷 허밍버드 목 주변의 밝은 색의 깃털은
    암컷 허밍버드를 유혹하는 수단이라고 하네요.
  
   허밍버드는 평상시에도 1분 동안 약
    250번의 숨을 쉬고, 심장은 약 1,200번씩 뛴다고 합니다.
  
   이러한 신체적 특징 때문에 허밍버드는 많은
    열량을 필요로 하는데요.
  
   하루 동안 자신의 몸무게의 절반에 달하는
    설탕을 섭취해야 하기 때문에 약 10분에 한 번씩 식사를     한다고 합니다.
  
   신기하게도, 허밍버드는 자신이 꿀을 먹었던
    꽃이나 먹이통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는데요.
  
   이는 먹이의 냄새를 맡는 방법으로 찾는 것이
    아니라, 잘 발달된 시력을 이용하여 자신이 갔던 곳의     시각적인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가 다시 찾아가는 거라고 합니다.
  
   
  
   자막.
  
   
  
   The first hummingbird is
    the Costa’s Hummingbird.
  
   Depending on which angle
    you look at, you can see the     purple feathers around their neck,
    and this is to distinguish     between male and female birds.
  
   It’s said that
    brightly-colored feathers around the     male hummingbird’s neck
    works as a way to attract female hummingbirds.
  
   Hummingbirds breath 250
    times per minute, and their     heart beats around 1,200 times per
    minute. And because of this     particular characteristic,
    hummingbirds require a lot of energy     throughout the day. Each
    day, a hummingbird’s sugar intake is about     half of what they
    weigh, so these birds eatevery 10 minutes.
  
   Surprisingly,
    hummingbirds can locate the exact     location of where they have eaten.
  
   And this is not done
    through olfactory senses, but is     done with their exceptionally
    well-developed eyesight where they     remember where they have been
    to find the location again.
  
   
  
   Costa's Hummingbird 코스타벌새
  
   Anna’s Hummingbird 안나벌새 암컷
  
   Anna’s Hummingbird 안나벌새 수컷
  
   
  
   내레이션.
  
   
  
   이제 적당한 위치에 카메라와 삼각대를
    설치하고 허밍버드를 기다려보도록 하겠습니다.
  
   10분에 한 번씩 식사를 한다는 말은 거짓말이었을까요?
  
   20분간 연속해서 촬영을 해보았지만,
    카메라엔 아무것도 잡히지 않았습니다. 20분간 말이죠.
  
   다시 돌려봐도 아무런 흔적도 찾을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뭐 이제 시작이니까요, 다시 한 번
    심기일전해서 허밍버드를 기다려봤습니다.
  
   그런데 먹으라는 꿀은 먹지 않고 눈앞에서
    얼쩡거리기 시작했습니다. 바로 눈앞에서 말이죠.
  
   급하게 핸드폰으로라도 담아보려 했지만,
    그것마저 쉽게 허락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던 중 마침내 허밍버드가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이게 무슨 일 일까요, 이번에
    카메라가 포커스를,
  
   포커스를 끝내 맞추지 못해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습니다.
  
   이렇게 한 시간, 두 시간, 허밍버드가 다시
    나타날 때까지 그 자리에 가만히 서서 카메라 속 작은     액정만을 애타게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자막.
  
   
  
   Now, I’ll set up my
    camera and wait for the     hummingbirds. 
  
   Is it true that
    hummingbirds eat every 10 minutes? 
  
   Even after 20 minutes,
    nothing was captured on my camera.
  
   For an entire 20
    minutes! 
  
   I went back to watch the
    video again, but there wasn’t     a single trace of a hummingbird.
  
   But I kept my hopes up
    and continued to wait for the birds.
  
   Finally, a hummingbird
    appeared in front of my camera,     but instead of eating the honey,
    it kept flying in front of my face.
  
   I tried to film with my
    phone camera, but it wasn’t easy.
  
   That’s when my camera
    caught another hummingbird.
  
   However, to my dismay,
    my camera couldn’t keep focus on     the bird, which led to another
    unsuccessful try.
  
   For the next few hours,
    I just stood there with my eyes     squinted on the small screen of
    the camera, just hoping for a good shot.
  
   
  
   현장음. 
  
   
  
   지금 네 시간째 같은 공간에서 허밍버드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두시…
  
   가망이 없습니다. 가망이 없어요. 제가
    원하는 샷을 잡을 수 있을 것 같지가 않아요. 지금.
  
   이렇게 허밍버드가 많은데, 저기엔 안
    옵니다. 제가 지정해둔 곳엔 절대 안 와요, 지금.
  
   
  
   자막.
  
   
  
   I’ve been waiting at
    this same spot for the past 4 hours.
  
   It is now 2 P.M.
  
   It all seems hopeless. I
    don’t think I’ll ever get to     shoot the scene I want.
  
   There are so many
    hummingbirds, but none for me.
  
   Not a single bird is
    coming to where I am.
  
   
  
   내레이션.
  
   
  
   이렇게 허밍버드를 찾아 떠난 2개월간의
    여정은 모두 실패로 돌아가 버리는 걸까요.
  
   멀리서나마 허밍버드를 볼 수 있음에
    감사해야하는 걸까요.
  
   너무 지친 나머지 허밍버드에게 말을 걸기 시작했는데요.
  
   
  
   자막.
  
   
  
   Are my two months of the
    hummingbird quest coming to an     end like this?
  
   Should I just be
    thankful that I could see hummingbirds     from afar?
  
   Feeling devastated and
    tired, I started speaking to the hummingbirds.
  
   
  
   현장음. 배 안 고프냐? 밥 먹어, 밥.
    저기 아래 있는데.. 
  
   
  
   자막.    Aren’t you hungry? Eat something. It’s right down there...
  
   
  
   내레이션. 갑자기 날기 시작하더니 정말로
    식사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자막.    Suddenly, one hummingbird starts flying and starts to
    have his meal! 
  
   
  
   내레이션.
  
   
  
   허밍버드 담기에 성공한 뒤 혼자서 기뻐하고
    있을 때쯤, 한 부부가 다가와 말을 걸기 시작했는데요.
  
   그들은 시애틀에서 온 데이브, 다이앤 부부였습니다.
  
   허밍버드 문신을 팔에 새길 만큼 이 부부의
    허밍버드 사랑도 대단했는데요,
  
   서로 이곳에 온 이유에 대해서 대화를
    나누기도 하고 허밍버드에 대한 정보도 주고받았습니다.
  
   
  
   자막.
  
   
  
   After successfully
    filming the hummingbirds, I was     celebrating on my own when a
    couple approached me and started     talking to me. 
  
   They were couple from
    Seattle named Dave and Diane.
  
   You could see their love
    for hummingbirds as they even     had a hummingbird tattoo on their
    arm. We started talking about why     we came here and shared
    information about these wonderful birds.
  
   
  
   내레이션.
  
   
  
   그렇게 2개월간의 허밍버드를 찾아 떠난
    여정이 드디어 마무리되었습니다.
  
   신기하게도 새장을 나오자마자 새로운 종의
    허밍버드를 발견했는데요, 루퍼스 허밍버드입니다.
  
   참 귀엽게 생겼죠?
  
   그리고 동물원을 나가기 바로 직전 야생의
    안나 허밍버드도 만날 수 있었는데요,
  
   아주 운이 좋게도 꽃 속에 꿀을 찾으며
    날아다니는 모습을 슬로우 모션으로 담을 수 있었습니다.
  
   잠시 지켜보시죠.
  
   
  
   자막.
  
   
  
   Finally, the two month
    journey of the hummingbird quest     came to an end.
  
   As soon as I exited the aviary,
  
   I found a new type of
    hummingbird called Rufous     Hummingbird. Isn’t it adorable?
  
   And right before I left
    the zoo, I was also able to see     Anna’s Hummingbird.
  
   With my luck,
  
   I was able to film the
    bird flying around looking for     honey in slow motion. Take a look.
  
   
  
   Rufous Hummingbird 루퍼스 허밍버드
  
   Anna’s Hummingbird 안나 허밍버드
  
   
  
   내레이션.
  
   
  
   이렇게 해서 ‘허밍버드를 찾아서’ 프로젝트는
    여기서 마무리하겠습니다.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막.
  
   
  
   Thank you for watching
    ‘Finding Hummingbirds.’
함께 볼만한 영상
 
                
					한국문화정보원이 창작한
					[해외문화PD 기획영상] 허밍버드를 찾아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해외문화PD 기획영상] 허밍버드를 찾아서](https://www.culture.go.kr//upload/videos2/vod/2018/12/00000059702400045887_06.jpg) 
	                       
	                      
	                    ![[LA/해외문화PD] 나도 케이팝 스타](https://www.culture.go.kr//upload/videos2/vod/2017/07/00000055460160022624_04.jpg) 
                        
                         
                        
                        ![[주LA한국문화원] 아리랑-아프로비트 '한여름의 사랑' 공연](https://www.culture.go.kr//upload/videos2/vod/2016/08/00000052479360004676_05.jpg) 
                        
                        ![[LA/해외문화PD] 판소리 전통과 현대](https://www.culture.go.kr//upload/contents/sddefault1808180122409215.jpg) 
                        
                        ![[LA한국문화원] 2015 K-Culture 서포터즈 발대식](https://www.culture.go.kr//upload/videos2/vod/2015/12/00000050414400023262_02.jpg) 
                        
                        ![[주LA한국문화원]One Step Up 워싱턴D.C한국문화원 문화교류전](https://www.culture.go.kr//upload/videos2/vod/2017/01/00000053913600026788_01.jpg) 
                        
                        ![[주LA한국문화원] 세계로 도약하는 한국명작무제전 공연](https://www.culture.go.kr//upload/videos2/vod/2016/04/00000051442560005113_03.jpg) 
                        
                        ![[주LA한국문화원] "정악과 정재" 공연](https://www.culture.go.kr//upload/videos2/vod/2016/08/00000052358400026948_04.jpg) 
                        
                        ![[LA/해외문화PD] Korean Storytime](https://www.culture.go.kr//upload/contents/110A116511B711021166110B117511AF 1803210823459427.jpg) 
                        
                        ![[LA/해외문화PD] 2018 K-POP 커버 댄스 페스티벌](https://www.culture.go.kr//upload/videos2/vod/2018/05/00000057862080019830_01.jpg) 
                        
                        ![[LA/해외문화PD] 옛 찻자리 / Korean Traditional Tea Ceremony](https://www.culture.go.kr//upload/videos2/vod/2017/09/00000055866240007438_03.jpg) 
                        
                        ![[주LA한국문화원] 2016한국현대판화전 개막식](https://www.culture.go.kr//upload/videos2/vod/2016/11/00000053274240034647_02.jpg) 
                        
                         
								 
								 
								 
								 
								 
								 
								 
								 
								 
								 
								 
								 
								 
								 
								 
								 
								 
								 
								 
								 
								 
								